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더이상 우리 아들 같은 죽음 없게"…故 김용균 모친의 눈물

"더이상 우리 아들 같은 죽음 없게"…故 김용균 모친의 눈물
"우리 아들…. (누구도) 우리 아들처럼 죽지 않게 여기서 끝내야 합니다. 안전하게 일할 수 있게 우리가 만들어가야 합니다."

비정규직 노동자 고(故) 김용균 씨의 어머니 김미숙 씨가 5일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후속대책을 합의하자 밝힌 소감이다.

작년 12월11일 오전 1시 충남 태안의 화력발전소에서 근무하던 김용균 씨가 사고를 당해 안타깝게 숨을 거둔 지 약 2달 만이다.

김미숙 씨는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아들이 세상에 의해서 개죽음당했다. 아들의 처참한 죽음에 너무나 억울하고 분통 터져 가슴에 커다란 불덩이가 들어있는 느낌이었다"고 토로했다.

김씨는 이어 "하지만 그래서 용균이의 동료를 살리고 싶었고, 그 엄마들이 저 같은 아픔 겪지 않게 해주고 싶었다"고 울먹였다.

감정에 북받치는 듯 말을 멈췄던 김씨는 침착한 어조를 되찾으며 발언을 이어나갔다.

그는 "(아들의 죽음이 있던) 그날 전까지는 이 세상이 이렇게 어두운 세상인지 몰랐다"며 "제 눈으로 보고 들은 그 현장은 1970년대에나 있을 법한, 안전장치 하나 없는 현장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도 용균이 동료들은 그렇게 생사를 오가는 환경에서 일하고 있다"며 "건설현장, 조선소에서도 사람들이 죽어 나가고 있다. 안전장치만 있다면 살 수 있는 사람들이 하루에 6∼7명씩 죽어 나간다"고 지적했다.

김씨는 "이런 현실을 모두 자기 일처럼 생각해서 서민들이 살 수 있게끔,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우리 아들의 죽음이 억울한 죽음이 되지 않도록 여기서 도와주신 분들이 많다. 단식으로 몸 깎아가며 도와주신 분들, 많은 시민께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진상규명과 책임자처벌 등 해결할 부분이 많다"고 덧붙였다.

앞서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사망사고의 구조적 원인을 조사하는 '석탄발전소 특별노동안전조사위원회'(진상규명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조사 내용은 올해 상반기 말 발표 예정이다.

김용균 씨 사망의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대책 등을 요구하며 장례를 미뤄 오던 '태안화력 비정규직 청년노동자 고 김용균 사망사고 진상규명 및 책임자처벌 시민대책위원회'(시민대책위)는 당정 합의 이후 7일부터 9일까지 장례를 치르기로 합의했다.

(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