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소비 늘었지만 식당·술집 '울상'…작년 실질매출 집계후 최소

소비 늘었지만 식당·술집 '울상'…작년 실질매출 집계후 최소
지난해 소비 전반은 기록적으로 확대했지만, 식당이나 술집의 실질적인 매출액은 통계 작성 후 가장 적은 수준이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계청의 서비스업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음식점 및 주점업의 2015년 기준 판매액지수는 잠정적으로 98입니다.

지난 2017년보다 1.8% 하락했습니다.

이 지수는 지난 2010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지난 2016년에 전년보다 1.6% 상승해 101.6까지 올랐으나 지난 2017년에 이어 지난해까지 2년 연속 하락한 결과입니다.

판매액지수는 표본조사를 토대로 구한 매출액 총액에서 물가상승의 영향을 제거해 산출한 지수입니다.

따라서 지난 2018년 음식점 및 주점업의 판매액지수가 2010년 이후 가장 낮았다는 것은 물가의 영향을 없앤 실질 매출액이 지난해 가장 적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외식 문화의 변화나 지난 2017년 급격히 위축한 중국인 관광시장이 제대로 회복하지 못한 상황 등이 음식점 및 주점업의 영업이 부진한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한국관광통계를 분석해 보면 지난해 한국을 여행한 중국인은 478만9천512명으로 지난 2017년보다 62만159명 늘었으나 2016년 806만7천722명에는 한참 모자랐습니다.

지난해 한국에 온 전체 외국인 여행객 수는 1천534만6천879명으로 지난 2016년보다 189만4천944명 적었습니다.

음식점 및 주점업의 고용상황도 좋지 않았습니다.

사업체 노동력조사결과를 보면 지난 2018년 음식점 및 주점업의 비자발적 이직자는 4만6천576명으로 2010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가장 많았습니다.

이 업종의 종사자는 103만4천530명으로 지난 2017년보다 305명 줄었습니다.

이런 감소는 통계 작성 후 지난해가 처음입니다.

지난해 전체 소비는 기록적으로 확대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소매판매액지수는 110.3으로 전년보다 4.2% 상승했습니다.

2011년 4.6%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입니다.

한국은행 통계를 보더라도 지난해 민간소비 증가율은 2.8%로 2011년 2.9%를 기록한 후 7년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