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광주형 일자리 닮은꼴 2∼3개 더 추진"…적지 않은 난관

<앵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직원들의 연봉을 좀 낮춘 자동차 공장을 세워서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자는 게 핵심입니다. 노동자들이 한 해 받는 돈은 평균 3천 5백만 원 수준으로 일반 완성차업체의 절반 정도입니다. 대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회사 사람들 살 집이나 애들 키우는 거 도와주고 의료 혜택을 지원해서 그만큼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겠다는 겁니다. 광주시가 회사의 21%, 현대차가 19% 지분을 갖게 되고, 그 나머지는 연기금을 비롯해서 외부 투자를 받는다는 계획입니다.

이렇게 진행되면 2년 뒤인 2021년, 광주에는 한 해 10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의 공장이 들어서게 되는데 여기서 직접 고용하는 사람이 1천여 명, 협력업체까지 더하면 최대 1만 2천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정부는 다른 지역, 2~3곳에서도 더 추진한다는 생각입니다. 물론 취지는 좋은데 걱정의 목소리도 여전합니다.

박민하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정부와 지자체, 노사가 함께 일자리를 만드는 광주형 일자리의 일반화된 모델을 다음 달 말까지 만들기로 했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지역 상생 일반 모델이 나오면 지자체가 일자리 사업을 만들어 신청하도록 하겠다"며 "상반기 내 2~3개 지자체에 이 모델을 적용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국내 주력 산업의 일자리 창출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실험적 대안으로 추진하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이 모델을 확산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시각이 있습니다.

[이항구/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자동차 산업과 같이 고임금 업종은 우리나라에서는 전자업종, 그다음 석유화학 업종, 일부 업종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전 산업으로 확산시키기는 한계가 있다고도 보겠습니다.]

모처럼 조성된 노사 상생이 확산되려면 광주에 들어설 완성차 공장의 성공이 중요한데 난관이 적지 않습니다.

광주 공장에서는 경차급 SUV를 생산하기로 했는데 국내 경차 수요는 지난 2012년 20만대에서 지난해 13만대 미만으로 줄었습니다.

최근 수요가 늘어나는 SUV로 만든다고는 하지만 경차 수요가 늘지 않으면 조기 경영 안정이 힘들 수 있습니다.

[금속노조 결의대회 : 한국의 자동차 생산능력 466만 대입니다. 70만 대 이상이 놀고 있습니다. 그런데 광주에 10만 대를 또 짓겠다고 합니다.]

적자가 지속되면 세금으로 메워야 할 수 있고 임금과 근로조건 등을 놓고 노사 상생의 정신이 흔들릴 수 있습니다.

현대차는 앞으로 지어질 광주 공장에 위탁물량을 보증하지도 않았습니다.

이번 합의가 기존 일자리의 안정성과 임금 체계를 위협할 수 있다며 '노동3권을 제한한 정경유착'으로 규정한 민주노총의 반발도 변수입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영상편집 : 조무환)

▶ '광주형 일자리' 첫발 뗐다…"중복 투자" 노조는 반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