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해 비인가 대안학교를 '서울형 대안학교'로 지정해 육성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시는 올해 15개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45개의 서울형 대안학교를 지정·운영할 계획입니다.
대안학교는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인가형'과 학력 인정이 안 되는 '비인가형'으로 나뉩니다.
서울시는 교육 당국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비인가 대안학교 중 서울형 대안학교를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서울 시내에서 운영 중인 비인가 대안학교는 82곳이며, 이 중 44곳이 현재 서울시로부터 운영비의 약 40%를 지원받고 있습니다.
서울형 대안학교로 선정되면 전체 운영비의 70%를 시비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학생 1인당 연간 지원비는 최대 880만원으로 공교육 942만원에 준하는 수준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습니다.
서울시는 간섭을 최소화해 자율적·독립적 운영을 보장한다는 방침입니다.
서울형 대안학교에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합니다.
서울문화재단과 협력해 '찾아가는 인문예술 통학교육'을 진행하고, 교사에게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연수를 지원합니다.
서울시는 종교·정치적 편향성이 없는 서울 소재 법인 혹은 단체가 운영하는 학교 중 전문성과 재정 운영의 투명성을 갖춘 학교를 선정할 방침입니다.
상반기 중 구체적인 지정 기준을 확정하고, 서류 심사와 현장실사를 거쳐 선정할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기존 44개 비인가 대안학교에 대한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새 학기부터 친환경 급식을 무료로 제공하고, 교사 인건비 지원 대상은 2인에서 3인, 지원액은 1인당 월 200만원에서 240만원으로 각각 늘립니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재비 지원은 학교당 연 300만원에서 600만원으로, 수업료를 지원하는 저소득 취약계층 재학생은 150명에서 200명으로 확대합니다.
서울시는 학교 밖 청소년 종합실태조사도 처음으로 실시합니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시내에서 학교에 다니지 않는, 이른바 학교 밖 청소년은 전체 학생의 8.5%인 8만여명으로 추산됩니다.
특히 고등학교 1학년 때 학교를 떠나는 경우가 55%를 차지했습니다.
서울시는 3∼9월 실태조사를 통해 학교 이탈 원인과 활동 상황 등을 전반적으로 분석해 맞춤형 정책을 개발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아울러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원 사업을 강화합니다.
서울시장학재단과 협력해 '대안교육기관 장학금'을 신설하고, 대안교육기관 재학생 100명에게 1인당 연 150만원을 지원합니다.
대안학교 인턴십 지원 대상자는 지난해 100명에서 올해 300명으로 확대합니다.
인턴십 대상자가 되면 교통비, 식비, 학습비 등으로 월 30만원씩 3개월간 받을 수 있습니다.
검정고시 및 자격증 취득 지원 사업은 지난해 130명에서 올해 300명 규모로 늘립니다.
서울시는 '청소년증' 발급도 늘려 올해 1만8천명에게 발급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사진=서울시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