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日 아베, 시정연설서 "올해 북한과 국교 정상화 목표" 밝혀…한국 관련 언급 아예 안 해

日 아베, 시정연설서 "올해 북한과 국교 정상화 목표" 밝혀…한국 관련 언급 아예 안 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북한과의 불행한 과거를 청산해 국교를 정상화하는 것을 올해 목표로 삼고, 이를 위해 미국과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긴밀히 연대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강제징용 배상 판결, '레이더-초계기 저공비행 갈등' 등 여러 이슈가 돌출해 갈등을 겪고 있는 한국과의 관계에 대해선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아베 총리는 오늘(28일) 국회에서 한 시정방침 연설을 통해 "북한의 핵, 미사일,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문제 해결을 위해 상호 불신의 껍데기를 깨야 한다"면서 북한과의 국교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본인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직접 만나서 모든 기회를 놓치는 일이 없이 과단성 있게 행동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아베 총리가 올해 시정연설에서 언급한 북한 관련 내용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대응'에 초점을 맞췄던 작년의 연설 내용과는 크게 다른 것입니다.

아베 총리는 작년에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은 그 어느 때보다 중대하고 임박한 위협으로 안보환경은 전후 가장 힘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북한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법으로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폐기토록 해야 한다"고 했었습니다.

이 같은 변화에는 북미 간에 작년 6월의 싱가포르 회담에 이어 2차 정상회담이 추진되는 등 비핵화를 위한 북미 협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아베 총리는 일제 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판결, 레이더 조사 논란 등으로 대립 상태가 격화된 한국과의 관계에 대해선 올해 시정연설에서 일절 거론하지 않았습니다.

'종군 위안부' 문제로 갈등을 겪던 작년도 시정연설 때만 해도 최소한 '협력관계'를 거론했던 것에 비춰보면 올해는 한국을 외면하는 외교 전략을 구사하겠다는 의도를 내보인 것으로 받아들여집니다.

아베 총리는 끝없는 논란을 낳아온 헌법 개정 문제에 대해선 연설 마지막 부분에서 "헌법은 국민의 이상을 담는 것이자 다음 시대의 길잡이"라며 국회 차원에서 논의가 진전되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