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로이터 설문 "일본도 경기후퇴 가능성 커졌다"

로이터 설문 "일본도 경기후퇴 가능성 커졌다"
중국의 부진과 맞물려 일본이 경기후퇴에 접어들 위험이 있다는 전문가들의 전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로이터통신이 지난 9일부터 18일까지 이코노미스트 38명을 설문해 21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28명이 일본이 오는 4월 시작되는 회계연도에 경기후퇴로 빠질 가능성이 3개월 전보다 커졌다고 응답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새 회계연도에 일본이 0.8% 경제성장으로 경기후퇴를 가까스로 면할 것 같다면서도 전망은 불확실하다고 답변했습니다.

이들은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 미국과 중국의 통상갈등을 부정적 전망의 이유로 들었습니다.

일본은 반도체, 휴대전화기 등을 만드는 중국 제조업체들이 쓰는 장비와 부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미중 무역 전쟁에서 간접적인 타격을 받아왔습니다.

작년 11월 일본의 수출 증가율은 미국과 중국으로 보내는 물량이 급격히 줄면서 바닥까지 떨어졌습니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일본 경제 부문 대표인 나가이 시게토는 "미중 무역분쟁 때문에 중국의 자본지출(설비투자) 의욕이 꺾였는데 이로 인해 자본재 수출이 둔화하면서 일본 경제에 먹구름이 꼈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과의 무역 합의를 향해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으나,중국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철회하는 방안은 고려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은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를 둘러싼 불확실성도 일본 경제가 직면한 악재로 보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다쿠치 하루미는 "브렉시트 전망과 같은 글로벌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미중 무역갈등이 일본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실현되면서 리스크가 3개월 전보다 커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로이터는 일본의 경기후퇴 가능성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증세 계획에 불길한 조짐이라고 해설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올해 10월 소비세율을 8%에서 10%로 인상해 인구 고령화에 따른 복지비용 증가에 대처할 방침입니다.

앞서 일본 정부는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고려해 이미 소비세 인상을 두 차례 연기한 바 있습니다.

이와 관련, 설문에 참여한 이코노미스트 39명 가운데 27명은 아베 총리가 소비세 인상을 강행할 가능성이 최소 80%라고 답변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소비세가 인상되면 올해 3분기(10∼12월)에 일본 경제가 3%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들은 일본 경제가 다가오는 회계연도 전체를 따지면 0.8% 성장하고 이듬해에는 성장률이 0.6%로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