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작년 휴대전화 수출 중국 공세에 23.2%↓…16년 내 최저

작년 휴대전화 수출 중국 공세에 23.2%↓…16년 내 최저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수출이 중국업체의 공세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23%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출액이 1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며 한때 휴대전화와 함께 양대 수출효자 품목이던 반도체에 비해 9분의 1 수준에 그쳤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수출액은 146억1천만달러로 전년보다 44억2천만달러 줄었습니다.

분기별 수출 감소율을 보면 1분기 20.2%에서 2분기에는 15.6%로 낮아졌다가 3분기에 증가세로 돌아선 후 4분기에는 35.3%로 치솟았습니다.

지난해 수출액은 2002년 113억6천만달러 이후 16년 만에 최저 수준입니다.

2016년(300억3천만달러) 이후로는 3년 연속 감소하며 반 토막났습니다.

2008년 휴대전화를 밑돌았던 반도체 수출은 작년 사상 최고치인 1천281억5천200만달러를 기록하며 휴대전화의 8.8배에 달했습니다.

휴대전화 수출이 감소세를 보이는 것은 세계 스마트폰 시장 성장이 둔화한 데다 해외 생산과 부품 현지 조달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폰 출하량이 14억4천만대로 전년보다 5%가량 줄며 사상 처음으로 감소할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스마트폰 해외 생산 비중은 2010년 15.9%에서 2011년 56.5%로 급등한 뒤 2013년 80%를 넘었고 2017년 이후로는 90%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분기 기준 스마트폰 국내 생산 비중은 9%에 불과했습니다.

해외시장에서 우리나라 휴대전화 점유율도 하락했습니다.

출하량을 기준으로 한 국내 업체의 스마트폰 점유율은 2017년 23.3%에서 작년 1분기 25.6%로 개선됐지만 2분기 22.4%, 3분기 20.3%로 계속 낮아졌습니다.

이는 화웨이와 샤오미, 오포와 비보 등 중국업체들의 거친 공세로 스마트폰 등 완제품 수출이 부진했기 때문으로 분석됐습니다.

LG경제연구원 강중구 책임연구원은 "휴대전화의 국내 생산 비중이 감소했지만 세제혜택 등을 통해 국내 복귀를 유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기업들이 미래 먹거리를 준비해야 하며, 정책적으로도 당장 효과를 보기 어렵더라도 벤처와 연구개발(R&D) 강화 등 장기적으로 성장 동력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픽사페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