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급성 심정지 빈발 시간, 아침 아니다"

"급성 심정지 빈발 시간, 아침 아니다"
심장이 예고 없이 갑자기 박동을 멈추는 급성 심정지(cardiac arrest)는 아침 이른 시간에 가장 빈발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있습니다.

그러나 급성 심정지 빈발 시간대가 바뀌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 세다스-시나이병원 부정맥 센터 실장 서미트 처그 박사 연구팀이 '오리건 급성 돌연사 연구'(Oregon Sudden Unexpected Death Study) 자료 중 급성 심정지 환자 2천631명에 관한 기록을 분석한 결과 급성 심정지 빈발 시간대는 이른 아침이 아닌 오후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CNN 뉴스 인터넷판이 16일 보도했습니다.

하루 중 급성 심정지 발생은 오후가 31.6%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아침 27.6%, 저녁 26.9%, 이른 아침 13.9% 순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습니다.

급성 심정지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요일은 월요일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러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한 가지 특이한 경향이 있다면 일요일은 발생률이 낮은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습니다.

이처럼 급성 심정지 빈발 시간대가 바뀌고 있는 것은 사람들의 생활 시간이 '24/7'의 연중무휴로 바뀌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처그 박사는 추측했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 심장학회(AHA)의 응급 심혈관치료 담당 부회장인 코밀라 새슨 박사는 '24/7' 문화가 부분적인 이유일 수는 있지만 이 자료는 관찰연구 결과일 뿐 확실한 것은 아니라고 논평했습니다.

급성 심정지는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혀 발생하는 심근경색과는 달리 심장을 수축시키는 전기활동 이상으로 나타나는 부정맥이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부정맥학회(Heart Rhythm Society) 학술지 '심장 리듬'(Heart Rhythm) 최신호에 실렸습니다.

(사진=픽사베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