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이 장기화하면서 성장률에 직접적인 타격이 가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셧다운 사태가 26일째로 접어든 가운데 각종 경제지표 발표도 차질을 빚는 상황과 맞물려 '성장둔화 공포'가 더욱 커지는 양상입니다.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는 셧다운으로 미 국내총생산(GDP)이 매주 0.13%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셧다운 4주째를 맞은 현재까지 경제성장률이 0.5%포인트 하락했다는 계산인 셈입니다.
만약 셧다운이 3월 말까지 이어진다면 성장률은 1.5%포인트 떨어지게 됩니다.
지난해 1분기 성장률 2.2%를 기준으로 하면, 1%를 밑도는 '0%대 성장률'이 현실화한다는 뜻이 됩니다.
백악관도 셧다운의 경제적 파장이 예상보다 크다는 점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셧다운이 1분기 내내 지속한다면, 분기 성장률을 제로 수준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다이먼 CEO는 "셧다운은 단순히 정치적 이슈가 아니다"라며 "셧다운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정확하게 알기는 어렵지만 분명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셧다운으로 연방정부 공무원들이 임금을 받지 못하거나 무급으로 일하면서 투자와 지출이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전체 연방 공무원 210만명 중 약 40%에 해당하는 80만 명이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중 42만 명은 '필수 직군'으로 분류돼 셧다운 이후에도 출근하고 있지만, 급여를 받지 못했습니다.
연방정부와 계약한 소규모 업체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습니다.
이러한 계약직 직원은 지난해 약 413만명으로 연방 공무원의 갑절에 달합니다.
이들 업체의 근로자들은 대부분 중·저소득 계층이어서 실질적 어려움이 더욱 크다고 WSJ은 지적했습니다.
여기에 각종 경제지표 발표가 늦어지면서 셧다운의 파장을 실시간으로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까지 빚어지고 있습니다.
이날 오전으로 예정됐던 소매판매와 기업재고 지표도 발표가 연기됐습니다.
지난주에는 공장주문액과 무역수지 지표가 발표되지 못했습니다.
만약 셧다운이 이달 말까지 이어지면 지난해 4분기 성장률(속보치)도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찌감치 예산을 확보한 노동부는 정상적으로 지표들을 공개하고 있지만, 상무부 지표들은 차질을 빚고 있다고 인터넷매체 악시오스는 전했습니다.
실시간 경제 흐름에 촉각을 세우고 있는 월스트리트 투자자들은 물론이거니와 "향후 통화정책은 경제지표에 달렸다"면서 '지표 의존성'을 강조한 통화정책 당국으로서도 곤혹스러운 상황입니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라파엘 보스틱 총재는 지난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는 경제지표들이 부족해졌다"면서 "셧다운으로 연준의 (금리결정) 업무도 더욱 어려워졌다"고 말했습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