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광주형 일자리 협상 재개'…박병규 일자리 특보 취임

지난해 12월 성사 문턱에서 무산된 현대자동차와의 이른바 '광주형 일자리' 투자유치 협상이 재개됩니다.

광주시는 박병규 사회연대일자리특별보좌관 취임과 함께 본격적으로 재협상에 나설 방침입니다.

박병규 특보는 오늘(16일) 오후 광주시청 출입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광주형 일자리 투자유치 협상이 잘되도록 하겠다"며 협상 재개 의사를 밝혔습니다.

박 특보는 "지역민 소망이고 광주시 주력사업이기도 하며 문재인 정부도 노력 중인 광주형 일자리가 잘되도록 힘을 보태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광주형 일자리를 시작한 4년 전부터 성사된다고 생각했고, 지금은 많이 발전한 것"이라며 협상 전망을 낙관적으로 봤습니다.

현대차와의 협상에 마지막 걸림돌이 된 '임금·단체협상 유예' 조항에 대해서는 "현대차와의 합의는 '5년간 협상하지 않는다'는 게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 큰 문제로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향후 일정과 계획에 대해서는 "시와 현대차가 계속 이야기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결과가 나오면 밝히겠다"고 말했습니다.

박 특보는 노동계와의 가교역할 및 정책자문 등을 통해 노동문제와 사회통합형 일자리 창출 전반에 대해 이용섭 시장을 특별 보좌하게 됩니다.

특히 지역 최대 현안이자 전국적인 관심을 받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 성공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박 특보는 민선 6기 윤장현 전 광주시장 재임 시절에 일자리 정책특보·경제부시장을 지내며 광주형 일자리 투자유치를 이끌었습니다.

광주시는 새해 들어 이용섭 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협상단을 정비하고 현대차와의 재협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광주형 일자리 성공에 대한 의지를 밝힘에 따라 최우선 과제로 삼고 협상 재개를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시는 협약식이 무산되고 숨 고르기에 들어간 현대차와의 물밑 접촉을 최근에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지난해 12월 5일 노동계가 반발하는 임단협 유예조항을 빼고 주 44시간에 3천500만원, 생산 규모 연산 10만대 등의 수정안을 의결했습니다.

하지만 현대차가 초기 경영 안정을 위해서는 임단협 유예조항이 들어가야 한다며 거부해 협약식이 무산됐습니다.

광주형 일자리는 노사민정이 사회적 대화에 기반을 둔 혁신적 노사관계와 생산성 향상을 추진하는 노사 상생 사회통합형 일자리 사업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