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민주당 "자족 못 하지만 고용 질 개선" vs 한국당 "끝 모를 고용 대참사"

민주당 "자족 못 하지만 고용 질 개선" vs 한국당 "끝 모를 고용 대참사"
여야는 지난해 실업률이 3.8%라는 통계청의 고용통계 발표를 두고 엇갈린 반응을 보였습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고용의 질이 개선되고 있다며 장기적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한 반면, 야당은 소득주도성장으로 대표되는 경제정책이 실패했다는 증거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이재정 민주당 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생산가능인구 감소, 제조업 부진, 자영업 조정 과정 등이 반영된 결과"라며 "자족할 수는 없지만, 고용의 질이 개선되고 있다는 사실은 긍정적인 부분"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여건이 어떻게 변화할지는 예측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결과인 만큼 단기적인 대책보다는 장기적인 계획 수립과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국면"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김정재 자유한국당 원내대변인은 "끝을 모르고 추락하는 고용대참사"라며 "문재인정부의 경제정책, 고용정책의 실패를 증명해주는 것으로, 세금으로 만든 일자리 외엔 아무 성과를 내지 못하는 일자리 지옥 정권"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이어 "시장은 거짓말하지 않고, 통계조작이 진실을 덮지 못한다"며 "청와대와 정부는 혹세무민을 위한 가짜뉴스 타령을 접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제성과와 구직자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고용정책으로 전환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수석대변인도 "경제실패가 프레임인지 진실인지는 실업·생산·설비투자·소비 관련 통계자료만 봐도 바로 확인할 수 있다"며 "경제는 시장에서 만들어지고, 일자리는 기업이 만든다는 사실을 정부가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김정현 민주평화당 대변인은 "일자리 정부를 표방한 문 대통령 입장에서 할 말이 없을 것"이라며 "조기에 경제성과를 내기 어렵다면 경제 방향이라도 제시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정의당은 정책위 차원의 논평을 통해 "일자리 정부를 내세운 문재인 정부가 출범 1년7개월이 지났지만 반전의 모멘텀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을 이전 정부 탓으로만 돌릴 수 없다"며 "소득주도성장을 포기하거나 후퇴할 게 아니라 아동수당, 실업수당 확대 등을 통해 소비를 살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