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삼성폰 4분기 실적 '내리막'…영업익 1조 원대 예상

삼성폰 4분기 실적 '내리막'…영업익 1조 원대 예상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사업 실적에서 내리막을 걷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작년 4분기 잠정 실적이 매출 59조원, 영업이익 10조8천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 10.6%, 28.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이는 증권사의 영업이익 전망치 평균(13조3천800억원)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어닝 쇼크' 수준입니다.

연간 기준으로는 매출 243조5천억원, 영업이익 58조9천억원의 실적을 기록해 전년 대비 1.6%, 9.8% 오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부문별 실적은 공시되지 않았지만,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IM(IT & Mobile Communications) 부문은 작년 4분기 1조7천억∼1조9천억원대 영업이익을 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대로라면 2015년 이후 삼성전자 IM부문 분기별 영업이익이 2조원을 넘지 못한 것은 2016년 3분기 갤럭시노트7 발화 사건으로 1천억원에 그쳤을 때를 빼면 처음이 됩니다.

이처럼 실적이 부진한 것은 글로벌 스마트폰 수요가 둔화해 출하량 감소의 직격탄을 맞은 데다 삼성전자가 최근 중저가폰에 집중하면서 평균판매가격(ASP)이 하락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됩니다.

삼성전자는 잠정실적 공시 첨부자료에서 "성수기에도 불구하고 시장 성장이 둔화한 가운데 경쟁 심화로 스마트폰 판매량이 정체하고, 성수기 프로모션 등 마케팅비가 증가해 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삼성전자 IM 부문은 작년 1분기 3조8천억원, 2분기 2조7천억원, 3분기 2조2천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습니다.

연간으로 봐도 영업이익이 10조 초중반대에 그쳐 2016년(10조8천억원), 2017년(11조8천억원)에 미치지 못하는 이익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작년 내놓은 주력 스마트폰 갤럭시S9, 갤럭시노트9이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화웨이, 샤오미, 오포, 비보 등이 중국, 인도 등 신흥시장에서 삼성전자를 눌렀기 때문입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작년 2억9천460만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해 2013년 이후 처음으로 출하량이 3억대 미만을 기록한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전망도 밝지만은 않습니다.

스마트폰 시장은 소폭 성장할 전망이지만 중저가 스마트폰 고사양화 확산으로 인해 경쟁은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게 업계 전망입니다.

SA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2억9천만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해 점유율 20.3%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작년 출하량 2억대를 기록한 화웨이는 올해는 2억3천만대 수준으로 성장해 점유율 16%대로 삼성전자를 턱밑에서 노릴 전망입니다.

일각에서는 화웨이가 올해 4분기 삼성전자를 뛰어넘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를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중국 업체 부상에 맞서기 위해 작년 하반기부터 중저가폰에 플래그십 모델보다 혁신 전략을 먼저 넣어 신흥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올해에는 상반기 갤럭시 10주년 기념작인 갤럭시S10, 폴더블폰·5G 지원 스마트폰을 선제적으로 출시해 기술력을 과시한다는 전략입니다.

삼성전자는 "폴더블폰·5G 모델 출시 등 기술 혁신을 주도하면서 중저가 하드웨어 스펙 강화 등 리더십 제고를 추진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