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킨타나 보고관 "北, 유엔 인권 메커니즘과 협력 확대해야"

킨타나 보고관 "北, 유엔 인권 메커니즘과 협력 확대해야"
▲ 이태호 외교부 2차관이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방한중인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이 오늘(7일) 정부 고위 인사들을 잇달 만나 북한 인권 관련 사항을 논의했습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오늘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를 방문해 이태호 외교부 제2차관을 접견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과 관련한 최근의 진전을 환영한다"면서 "이를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이어 북한이 인권 분야에서도 진전을 이루기 위해 유엔 인권메커니즘을 비롯한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보다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이 차관은 지난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진전을 설명하고 이 과정에서 이산가족 상봉과 미군전사자 유해 송환 등 인도적 분야에서도 합의와 진전이 이뤄졌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차관은 이어 "앞으로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 정착을 통해 북한 주민들의 실질적 인권 증진에도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이 차관에 이어 오후에는 천해성 통일부 차관도 만나 상호 관심사에 대한 의견을 나눴습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면담 직후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천 차관과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남북관계 구상에 대해 논의했다"며 "이산가족 상봉과 대북 제재, 대북 인도적 지원, 한국 내 탈북자들 상황 등에 대한 의견 교환도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또 한반도 평화 조성을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높게 평가하면서 이산가족 상봉 사업 등 통일부의 올해 주요 사업 계획과 목표에 대해 문의했다고 통일부가 밝혔습니다.

이에 천 차관은 지난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 등에서 큰 진전이 있었음을 설명하고 "올해에도 작년의 성과를 이어받아 지속적으로 한반도 평화 정착과 남북관계 발전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천 차관은 "이를 통해 인도적 문제 해결과 북한주민의 실질적 인권 증진에 긍정적 영향이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천 차관과 면담하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났는데, 작년 11월 잠적한 조성길 전 이탈리아 주재 북한 대사대리에 대해 언급할 것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전혀 없다"고 답했습니다.

중국의 북한식당에서 일하다 지난 2016년 한국에 입국한 12명의 종업원 문제를 거론할 지에 대해선 "(이 문제는) 과거 방한 때도 이슈였고 정보를 수집 중"이라며 필요하다면 오는 11일 기자회견에서 언급하겠다는 뜻을 시사했습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오는 3월 유엔 인권이사회에 북한의 인권 상황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으로, 이번 방한은 이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차원입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이번 방한 기간 정부 부처 인사, 탈북민, 대한적십자사, 국가인권위원회 관계자, 시민사회 관계자 등과 면담할 예정인 걸로 알려졌습니다.

킨타나 보고관의 방한은 이번이 다섯 번째로, 지난해 7월 방한 때는 중국 내 북한식당에서 일하다 탈북한 여종업원 가운데 일부를 면담하기도 했습니다.

킨타나 보고관은 오는 11일 기자회견을 열어 방한 결과를 설명할 예정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