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英연구팀 "소셜미디어 연관 10대 우울증, 남성보다 여성이 심해"

英연구팀 "소셜미디어 연관 10대 우울증, 남성보다 여성이 심해"
트위터, 페이스북 같은 소셜미디어의 과도한 이용이 10대 우울증 증가와 연관돼 있고, 그런 유형의 우울증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훨씬 더 심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연구팀이 만 14세의 남녀 청소년 1만904명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해 이 같은 잠정적 결론을 내렸다고 CNN 등 외신이 보도했다.

UCL의 전염병학과 공중보건 교수인 이본 켈리 박사가 제1 저자를 맡은 연구보고서는 영국 의학전문지 '랜싯(Lancet)'의 온라인 학술지 '이클리니컬메디신(EClinicalMedicine)' 최근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소셜미디어를 하루 '5시간 이상' 쓰는 그룹과 '1∼3시간' 쓰는 그룹을 먼저 비교했다.

그랬더니 앞 그룹에서 '우울증이 있다'고 응답한 여성이 뒤 그룹보다 50% 많았다.

남성의 동일 응답 증가율은 35%에 그쳤다.

또한 하루 '3∼5시간' 그룹과 '1∼3시간' 그룹의 비교에서도 우울증 응답 비율은 여성 26%, 남성 21%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기본적으로 10대 여성의 소셜미디어 이용 시간이 남성보다 훨씬 많았다.

하루 '3시간 이상'이라는 응답 비율이 여성 43.1%로 남성(21.9%)의 두 배였다.

켈리 교수는 "남녀 모두 소셜미디어를 많이 쓸수록 정신건강에 문제가 생길 개연성이 높은 것 같다"면서 "(소셜미디어와 우울증의 연관성이) 10대 남성보다 여성에서 훨씬 높게 나타난 것은 놀랍다"고 말했다.

켈리 교수는 소셜미디어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잠정적 원인으로 수면습관, 사이버 괴롭힘(cyber harassment), 신체 이미지와 외모 만족도, 자존감 등 네 가지를 제시했다.

특히 중요한 요인으론 앞의 두 가지가 꼽혔다.

켈리 교수는 그런 연관성의 남녀 차이와 관련해 "영국의 10대 여성은 가벼운 채팅이나 인스타그램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사진을 찍어 올리는가 하면 그런 사진을 놓고 의견을 나누다 보니 외모에 더 많이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물론 이번 연구결과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선 소셜미디어와 우울증의 연관성을 보여줬을 뿐 인과관계를 입증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아울러 우울증을 가진 10대가 소셜미디어를 더 많이 하는지, 반대로 소셜미디어를 많이 해서 우울증이 생기는 것인지도 분명하지 않다.

한편 이번 연구에 쓰인 설문자료 등은 '밀레니엄 코호트 스터디(MCS; Millennium Cohort Study)'라는 영국의 인구통계 조사 결과를 가져온 것이다.

UCL은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6차례에 걸쳐 MCS 조사를 수행했다.

(연합뉴스/사진=픽사베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