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靑 특감반 의혹 여진…민주당 "정쟁 그만" vs 한국당 "국조·특검"

靑 특감반 의혹 여진…민주당 "정쟁 그만" vs 한국당 "국조·특검"
여야가 새해 첫 업무일인 오늘(2일)도 청와대 특별감찰반 의혹을 둘러싼 대립을 이어갔습니다.

여야는 청와대 특감반 의혹 규명을 위해 2018년 마지막 날 밤새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를 열어 격한 공방 속에 진상 규명에 나섰지만, 여진이 계속되는 모양샙니다.

여기에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의 주장까지 겹쳐 청와대 특감반 의혹은 경우에 따라 새해 초반 정국을 얼어붙게 할 수도 있습니다.

당장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운영위를 통해 불법 사찰의 판도라 상자가 열리기 시작했다고 주장하며 국정조사와 특별검사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동시다발적 국회 상임위 개최도 요구하기로 했습니다.

청와대 특감반 의혹 및 신 전 사무관의 주장과 관련해 국회 기획재정위, 외교통일위, 문화체육관광위, 환경노동위, 국토교통위 등 최소한 5개 상임위를 열어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이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국조와 특검은 물론, 상임위 개최 요구를 일축한 상탭니다.

청와대 특감반 의혹과 관련한 운영위 개최로 각종 의혹이 말끔히 해소됐다는 자체 평가에 따른 겁니다.

결국 '의혹·폭로 정국'을 이어가려는 한국당과 이를 사전 차단하려는 민주당의 정면충돌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실제 민주당과 한국당은 올해 들어 처음으로 열린 당 회의 등을 통해 청와대 특감반 의혹을 놓고 거친 설전을 벌였습니다.

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운영위 회의에선) 김태우란 범법자의 개인 비리와 불법행위, 그리고 이를 정쟁으로 악용하는 한국당의 고성과 비방만 있었다"며 "그런데도 한국당은 다시 특검과 국정조사를 하자고 우기고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반면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당 회의에서 "운영위를 겪으면서 형사적 처벌이 가능한 청문회와 국정조사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며 "조사가 필요하다는 국민 여론을 등에 업고 결국 특별검사 도입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나 원내대표는 "특검 도입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이고 신 전 사무관 사건에 나타난 국가권력을 남용하는 사건들에 대해서 관련 상임위 소집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바른미래당은 신 전 사무관의 폭로로 새로운 국면이 전개되고 있다며 국회 기획재정위 소집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다만 청와대 특감반 의혹에 대한 한국당의 국조·특검 요구에 대해서는 유보하는 태도여서 앞으로 한국당과의 공조 여부가 주목됩니다.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청와대가 적자 국채 발행을 강요하고 KT&G 사장 선임에 개입했다'는 신 전 사무관의 주장에 대해 "기재부는 이 문제를 무조건 부인하거나 덮지 말고, 국회 기재위를 통해 국민이 가진 의문점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 원내대표는 청와대 특감반 의혹 국조 여부에 대해선 "검찰 수사를 지켜보면서 판단하는 게 맞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