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주열 "미 금리 인상 늦춰지면 시장안정 측면에서 긍정적"

이주열 "미 금리 인상 늦춰지면 시장안정 측면에서 긍정적"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일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늦춰진다면 시장 안정 차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주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기자실 신년다과회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한두 달 사이에 덜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인 쪽으로 바뀌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달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는 올해 금리 인상 횟수 전망이 3회에서 2회로 하향 조정됐다.

그는 "올해 통화정책을 하는 데 미 연준의 통화정책이 어느 때보다 상당히 영향을 줄 것 같다"며 "경기가 안 좋아서 미 연준이 금리 인상을 천천히 하는 것이겠지만 금융시장이 워낙 촉각을 기울이고 있으니까 (그렇게 되면) 여러 가지로 긍정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 금리 인상이 올해로 종료할 수 있다는 신호가 나오면 한은도 금리 인하로 통화정책 방향을 선회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여러 전제를 바탕으로 얘기하기는 어려운 문제"라고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그는 "경기, 금융안정을 균형 있게 고려하는 상황은 올해도 마찬가지"라며 "(금융안정을) 완전히 제치기가 그렇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다만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이 종전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해서다.

지난해 10월 한은이 내놓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1.7%다.

이 총재는 "유가는 워낙 금방 영향이 나타나니 올해 경제 지표 중 물가는 당장 큰 변화가 나타났다"며 "전망할 때 국제유가를 배럴당 60∼70달러로 봤는데 지금은 40달러대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공공요금이 오른다든가 하면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면서 "물가 상황은 올해 7월쯤부터 6개월마다 설명해 드리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올해 경제 여건을 두고는 "바깥 여건이 워낙 중요한데 우호적인 게 별로 없다"며 마음이 무겁다고 토로했다.

수출에 대해선 "지난 1년 수출지표를 복기해봐야 한다"며 "수출지표가 단가 변동에 의한 것인지, 물량도 어느 정도 변화가 있는지 봐야 한다"고 했다.

가계부채 문제를 두고는 "차주 70%는 상환능력이 좋은데 문제는 취약계층"이라며 "그런 문제는 재정의 역할이고 정부도 그 점을 인식해 많이 생각하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잠재성장률 수준을 재검토하는 문제에도 "현재 추정치인 연 2.8∼2.9%가 그대로 갈지 예단할 수 없다"면서도 "올해 성장률을 2.7%로 전망했는데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낮지 않다는 인식은 지금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