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민주콩고 정부, 대선 후 인터넷 차단…야권 "사기 시도" 반발

아프리카 중부에 있는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 정부가 대통령 선거 이후 자국민의 인터넷 접근을 차단해 논란을 빚고 있습니다.

1일(현지시간) AFP, 로이터, DPA통신 등에 따르면 민주콩고 당국은 대선 다음 날인 31일 오후부터 전국적으로 인터넷 연결과 문자메시지(SMS) 서비스를 정지했습니다.

민주콩고 대통령 보좌관인 바르나베 키카야 빈 바루비는 이날 외신과 인터뷰에서 이틀째 시행 중인 인터넷 차단과 관련, "(대선에 관한) 허위 결과가 소셜 미디어에 유포되기 시작한 후 공공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인터넷과 SMS 서비스를 차단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대선을 둘러싼 허위 결과가 국가를 큰 혼란에 빠뜨릴 수 있다며 인터넷 차단 조치가 잠정적인 선거 결과가 나오는 오는 6일까지 유지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민주콩고 당국은 현지 인기 매체 중 하나인 '프랑스 국제라디오'(RFI)의 방송도 차단했다고 DPA가 전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30일 민주콩고는 차기 대통령을 뽑는 선거를 진행했고 일부 지역에서는 투표 기계 고장, 폭력 사태 등으로 혼란이 발생했습니다.

개표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인 가운데 유력 후보인 야권 마르탱 파율루(61) 의원, 여권 에마뉘엘 라마자니 샤다리(57) 전 내무장관은 서로 자신이 승리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민주콩고를 18년 동안 통치한 조셉 카빌라(47) 대통령이 이번 대선을 통해 물러나고 평화적으로 정권교체가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그러나 야권이 인터넷 차단에 반발하는 등 긴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야권 파율루 후보 측은 "정부가 몰래 사기를 치려고 인터넷을 차단했다"고 비판했습니다.

국제사회도 민주콩고 정부를 향해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민주콩고 수도 킨샤사에 있는 유럽연합(EU), 캐나다, 미국 등의 외교사절단은 1일 공동성명을 내고 민주콩고 정부에 인터넷, 미디어 등의 소통수단을 차단하는 조치를 자제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