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민주 "북미회담 전망 밝게 해"…한국 "진전된 비핵화 입장 없어"

민주 "북미회담 전망 밝게 해"…한국 "진전된 비핵화 입장 없어"
여야는 1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신년사와 관련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습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진보성향 야당은 김 위원장이 비핵화 의지를 재천명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한반도 평화 정착의 중요성을 강조한 반면,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실질적인 비핵화 진전과 관련한 입장 표명은 없었다고 평가절하했습니다.

바른미래당은 김 위원장의 신년사를 평가하면서도 실질적인 비핵화 노력에 방점을 찍었습니다.

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및 남북관계 개선을 향한 확고한 의지를 분명히 밝힌 점을 적극 환영한다"고 밝혔습니다.

홍 수석대변인은 "언제든 미국과 만나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협상과 결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힌 것은 앞으로 있을 북미고위급 회담, 북미정상회담의 전망을 밝게 한다"며 "민주당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현을 속도감 있게 획기적으로 진전시키는 한 해가 되도록 정부와 함께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평화당 김정현 대변인은 논평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 의지,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정상화 등의 구체적 언급은 주목할 만하다"며 "문재인 대통령, 김 위원장,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한번 연쇄적인 남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에 대한 접점을 찾는 정치력을 보여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정의당 정호진 대변인은 "김 위원장이 완전한 비핵화를 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해 매우 반갑다"며 "2018년은 서로의 의지를 확인하면서 조심스럽게 서로에게 손을 내미는 시간이었다면 2019년은 의지를 행동으로 옮겨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습니다.

이에 반해 한국당 윤영석 수석대변인은 "북한이 핵 폐기를 위한 실질적인 비핵화를 전혀 하지 않고 국제사회의 제재완화 등 상응 조치만을 고집해 종전의 북한 입장을 그대로 되풀이한 것에 불과하다"며 "개성공단 재가동과 금강산관광 재개는 북핵 폐기의 실질적 진전 없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했습니다.

같은 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입장문에서 "기대했던 북한 비핵화에 대한 진전된 입장은 없었다"며 "오히려 핵보유국 지위에서 미국의 제재 해제와 같은 선제적 상응 조치를 요구하고, 심지어 '제재를 지속하면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다'는 협박성 엄포까지 내놓았다"고 밝혔습니다.

바른미래당 김삼화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 재천명을 "현명한 결정"이라고 평가하면서 "다만 대북제재가 해제돼야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북한의 실질적인 비핵화가 선결과제라는 것에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김 수석대변인은 "정부는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장기간 교착 상태에 머물러 있는 북미 간 대화의 중재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