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60세 한국인 남은 수명 25.1년…10년 전보다 2.7년 늘어

60세 한국인 남은 수명 25.1년…10년 전보다 2.7년 늘어
60세 한국인의 남은 수명은 평균 25년 정도로, 10년 전보다 3년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계청이 3일 공개한 '2017년 생명표'를 보면 작년 기준 60세인 한국인의 기대여명(특정 연령의 사람이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은 25.1년으로 10년 전보다 2.7년 길어졌습니다.

2017년 기준 60세의 기대여명은 남성이 22.8년이고 여성이 27.4년이었습니다.

10년 전보다 각각 2.8년, 2.7년 늘었습니다.

2016년 기준 60세 한국인의 기대여명과 비교하면 남성은 0.3년, 여성은 0.2년 증가했습니다.

40세 한국인의 기대여명은 43.6년(남성 40.7년·여성 46.5년)으로 10년 전보다 3.2년(남성 3.5년·여성 2.9년) 늘었습니다.

9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 남녀의 작년 기준 기대여명은 2016년보다 늘었습니다.

모든 연령층에서 생존 확률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습니다.

2017년 출생아가 4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성 98.1%·여성 98.8%였고 65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성 87.7%·여성 94.9%였습니다.

8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성 59.6%·여성 79.6%였으며 10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성 1.1%·여성 3.7%였습니다.

2017년 20세인 사람이 80세까지 살아남을 확률은 남성 59.9%·여성 79.9%로 전년보다 남성 1.6%포인트·여성 1.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40세의 생존자가 80세까지 살아남을 확률은 남성 60.7%·여성 80.5%였고 65세의 생존자가 80세까지 살아남을 확률은 남성 67.9%·여성 83.9%였습니다.

2017년 한국 65세 생존자의 기대여명(남성 18.6년, 여성 22.7년)은 OECD 평균보다 남성은 0.7년, 여성은 1.4년 길었습니다.

20년 전인 1997년에는 한국 65세의 기대여명이 OECD 평균보다 남성 1.2년, 여성 0.9년 짧았으나 고령층 기대여명이 OECD 평균보다 빠른 속도로 늘어난 결과라고 통계청은 분석했습니다.

2017년 한국 80세 생존자의 기대여명(남성 8.1년, 여성 10.2년)은 OECD 평균보다 남성은 0.2년 짧고 여성은 0.3년 길었습니다.

80세 한국 남성의 기대여명은 1997년에는 OECD 평균보다 0.6년 짧았고 그 격차가 줄었지만, 여전히 OECD 평균에는 미달했습니다.

80세 한국 여성의 기대여명은 1997년에는 OECD 평균보다 0.5년 짧았으나 2012년에 OECD 평균을 따라잡았습니다.

기대여명 분석에 사용된 OECD 평균은 36개 국가의 이용 가능한 최근 자료를 활용해 구한 값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