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혼란 일으킨 KT 화재…국가 중요시설인데 대책도 없었다

<앵커>

이번에 피해가 커진 건 이런 사고에 대비해서 미리 세워둔 비상대책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초기에 불 끌 소방시설, 이후에 통신망을 되살릴 계획, 다 부실했습니다. 단 한 지점에 불이 났는데 이렇게 많은 국민들 안전과 민생이 흔들리는 걸 확인했으니까 대책 빨리 세워야 될 겁니다.

고정현 기자입니다.

<기자>

국가 중요시설은 기능의 중요도와 규모에 따라 A, B, C, D 등급으로 나뉩니다.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KT 아현지사는 D등급 시설입니다.

그것이 화재 같은 문제가 생길 경우 기능을 대체할 백업 시설을 갖추지 않은 이유가 됐습니다.

[오성목/KT 네트워크부문 사장 : (국가중요시설) D등급 (통신)국사는 저희가 아직 백업 체계가 안 되어 있습니다. 왜냐면 사실 백업 한다는건 굉장히 많은 투자가 수반이 되고….]

백업 시설이 없다면 사고에 대처해 재빨리 우회 통신로를 확보해야 하는데 그렇지도 못했습니다.

지상의 굴착 공사 도중에 광케이블이 끊기는 것 같은 사고가 나면 곧바로 우회 통신로를 확보하게 돼 있지만 지하 통신구에서 불이 커지는 바람에 KT 직원들은 접근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그렇다면 지하 통신구에서 불이 날 경우에 대비해 장비와 시설이 갖춰져 있어야 합니다.

불이 난 지하 통신구에는 화재 감지 센서는 있었지만 스프링클러는 설치돼 있지 않았습니다.

통신구 길이가 500m 이상이어야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 대상인데 이 통신구는 150m밖에 안 된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통신구가 시작되는 지하 1층은 기계실과 통신구 케이블실이 벽으로 나뉘어 있는데 기계실에는 스프링클러가 있었지만 케이블실에는 소화기만 비치돼 있었습니다.

통신구 지하 관로에 화재 차단벽도 없어 번지는 불에 속수무책이었습니다.

[이영주/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방화 구역이든 확산방지시설이건 이런 것들을 통해서 정확하게 구역이 형성됐더라면 통신구 쪽으로의 화재 확산들은 상당히 차단이 됐을 것으로 보이는데….]

통신구 길이가 500m가 되느냐 안 되느냐로만 따질 게 아니라 중요한 건 주요 통신 시설에 불이 나면 엄청난 피해가 발생한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실증된 만큼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형식적이고 기계적인 화재 방지 대책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합니다.

(영상취재 : 김태현, 영상편집 : 박기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