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타이완 지방선거서 차이잉원 민진당 참패…중국 '안도'

어제(24일) 치러진 타이완 지방선거에서 타이완인들이 '독립'보다 '안정'을 택하면서 차이잉원 총통이 이끄는 집권 민주진보당이 참패했습니다.

이뿐만이 아니라 올림픽에 '차이니스 타이베이'가 아닌 '타이완' 이름으로 나가자는 타이완의 국민투표가 부결되고 타이완의 탈원전 정책도 원점으로 돌아가 민진당의 재집권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미중 갈등 속에 이번 선거에서 보이지 않는 압력으로 작용했던 중국은 선거 결과에 안도하며 '하나의 중국'을 재천명하고 나섰습니다.

오늘 타이완 중앙선거위원회 최종 당선자 발표에 따르면, 야당인 국민당은 22개 현·시장 자리 중 3분의 2에 달하는 15곳을 차지했습니다.

반면 민진당은 6개의 현·시장 자리를 얻는 데 그쳤습니다.

지난 2014년 민진당 후보가 당선됐던 직할시인 가오슝과 타이중에서 국민당 후보가 당선됨에 따라 민진당은 큰 정치적 타격을 입었습니다.

현·시장 선거의 정당 지지율에서도 국민당은 48.8%로 39.2%에 그친 민주당을 크게 앞질렀습니다.

이는 2014년 집권 국민당이 참패한 지방선거 때와 정반대 결과입니다.

당시 민진당은 22개 현·시 가운데 13곳, 국민당은 6곳을 각각 확보했습니다.

차이 총통은 전날 밤 기자회견을 열고 선거 결과에 책임을 지겠다면서 민진당 주석 자리에서 사퇴했습니다.

라이칭더 행정원장도 차이 총통에게 사의를 표명했습니다.

한편, 지방선거와 동시에 치러진 국민투표에서 2020년 도쿄올림픽을 포함한 국제 스포츠 대회에 '차이니스 타이베이'가 아닌 '타이완'으로 참가하자는 안건은 476만여 명의 동의를 얻는 데 그쳐 전체 유권자 1,970여만 명 중 25% 동의를 얻는 데 실패해 부결됐습니다.

독립 추구 성향인 차이 총통의 2016년 집권 후 양안 관계가 급속히 악화한 가운데 다수의 타이완 유권자들이 실익 없는 독립 추구보다는 안정 쪽을 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차이 총통 집권 이후 지속해온 선명한 '탈중국화' 정책에 따른 타이완인들의 피로감이 커졌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이번 국민투표를 통해 차이잉원 정부가 야심 차게 추진했던 탈원전 정책도 무산됐습니다.

이처럼 2016년 집권한 차이 총통의 중간평가 성격이 짙은 이번 선거에서 민진당이 냉혹한 유권자들의 심판을 받으면서 차이 총통의 정국 장악력이 급속히 약화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타이완 정치 전문가들은 이번 선거 결과의 충격으로 차이 총통이 조기 레임덕에 걸려 정국 장악력을 잃게 되면서 그의 2020년 재선 가능성도 크게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차이 총통이 집권 이후 강력히 추진해왔던 '탈중국화' 정책도 향후 추진력이 한층 약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고개를 듭니다.

타이완 빈과일보는 차이 총통이 중간고사에서 '낙제'를 받아 레임덕이 앞당겨졌으며 2020년 대선에도 먹구름이 드리워졌다면서 개혁 과정에서 미흡한 행정능력으로 민심을 잃으며 참패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런 결과에 중국 정부와 관영 매체들은 안도하며 '하나의 중국'을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마샤오광 중국 대만사무판공실 대변인은 "이번 선거 결과는 양안 관계의 평화적 발전을 공유하려는 타이완 민중의 희망과 경제와 민생의 개선을 바라는 염원을 크게 반영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92공식(九二共識·1992년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각자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 합의)을 유지하고 '타이완 독립'과 이런 활동을 지지하는 분리주의자들에 대해 단호히 반대할 것"이라면서 "타이완 동포와 힘을 합쳐 양안 관계가 평화와 발전의 길로 가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환구시보는 사설에서 "민진당 집권 후 92 공식을 인정하지 않고 양안간 대립을 하면서 타이완 민중이 원하는 것을 잊어 이번에 표를 잃었다"고 지적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