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 겨울철 줄어드는 이유는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 겨울철 줄어드는 이유는
북한산 등 도심권 국립공원에 출현하는 멧돼지는 여름철에 많아졌다가 겨울철에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16년부터 최근까지 북한산, 경주, 계룡산, 무등산 등 도심권 4개 국립공원의 멧돼지 서식 실태를 분석한 결과, 서식 밀도가 여름철에 정점을 찍고 겨울철에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했다고 오늘(25일) 밝혔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멧돼지 주요 서식지를 대상으로 공원별 12개, 총 48개 구역을 선정했습니다.

면적 4㎢ 구역 총 192㎢에 무인센서 카메라 등을 활용해 1㎢당 멧돼지 개체 수를 조사한 결과, 올해 월평균 멧돼지 밀도는 ㎢당 북한산 1.4마리, 경주 1.2마리, 계룡산 1.8마리, 무등산 1.8마리로 나타났습니다.

멧돼지 밀도가 가장 높은 시기는 새끼가 태어나고 어느 정도 자라는 7∼8월로 ㎢당 북한산 2.2마리, 경주 1.9마리, 계룡산 2.7마리, 무등산 2.7마리였습니다.

하지만 카메라에 잡히는 멧돼지 수는 겨울철에 줄어들어 올해 1월의 경우 북한산과 경주의 월평균 멧돼지 밀도는 1마리가 채 안 됐습니다.

계룡산과 무등산은 올해 6월부터 모니터링을 해 겨울철 통계가 없습니다.

겨울철 밀도가 낮은 이유는 멧돼지를 포함한 유해 야생동물 포획, 추운 날씨 속 새끼 사망률, 겨울철 먹이를 찾기 위한 서식지 이동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멧돼지의 임신 기간은 120일 내외로, 새끼의 첫해 사망률은 45∼5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멧돼지가 겨울철에 줄어드는 현상이 일시적인지 지속적인지에 대해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