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IAEA "영변 원자로에서 활동 지속…사찰해야 확인 가능"

IAEA "영변 원자로에서 활동 지속…사찰해야 확인 가능"
아마노 유키야 국제원자력기구 IAEA 사무총장은 "8월 보고서 이후 북한 영변에서 움직임이 관측돼왔다"며 "현지를 방문해 사찰을 해봐야 활동들의 본질과 목적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아마노 사무총장은 IAEA 이사회 보고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관측된 움직임이 원자로 부품 조립과 미완성 원자로에 부품을 실어나르는 활동과 일치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아마노 사무총장은 "영변 구룡강 근처에서 움직임이 있는데 이런 움직임이 나타나는 동안 5메가와트 원자로는 가동이 중단됐고, 실험용 경수로는 부품 조립, 반입 가능성과 관련 있는 활동들이 관측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9월 남북정상회담에서 평양선언을 통해 북한이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쇄 같은 추가 조치를 할 수 있다는 의향을 밝혔지만 원자로에서 계속 작업하고 있다면서 위성을 통해 이러한 활동들을 감시해왔다고 설명했습니다.

영변 5MW 원자로와 추가 건설 중인 것으로 알려진 실험용 경수로는 북한의 핵무기 관련 설비로 의심받는 핵심 시설입니다.

아마노 사무총장은 IAEA가 위성을 통해 관측한 내용을 (핵 활동으로) 확언할 수는 없다며 사찰단이 영변을 방문해야 구체적인 게 확인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북한은 2009년 4월 IAEA 사찰단을 추방했습니다.

아마노 사무총장은 북한이 사찰단 방문을 허용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IAEA의 결의를 준수할 것도 촉구했습니다.

아마노 사무총장이 밝힌 내용은 올 8월 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가 공개한 것과 일부 일치합니다.

당시 38노스는 영변 핵 시설 부근 구룡강 일대에 준설 작업이 진행 중이라면서 냉각수 배출 작업인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IAEA는 앞서 올 8월 보고서에서 북한이 핵 활동을 중단한 아무런 징후도 포착하지 못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한편 38노스는 지난 16일 5메가와트 원자로는 가동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낮은 유량의 물이 배출되는 것으로 봐서 신규 활동이라기보다 기존 활동에 따른 잔존 폐열을 제거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38노스는 실험용 경수로 주변의 차량과 장비 이동도 미미하다고 덧붙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