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따릉이는 수리 중' 자전거 10배 늘었는데 정비인력은 고작 2배

'따릉이는 수리 중' 자전거 10배 늘었는데 정비인력은 고작 2배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큰 인기를 끌며 2만대까지 늘어나는 동안 따릉이 이용을 지원하는 배송·정비 인력은 제대로 증원되지 않아 고장 난 자전거가 쌓여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정의당 권수정 서울시의원에 따르면 따릉이는 2015년 2천대에서 올해 2만대로 3년 새 10배 늘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따릉이 배송·정비 인력은 60명에서 120명으로 2배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배송·정비 인력이 늘어나는 따릉이를 감당하지 못해 이달 14일 기준으로 따릉이 2만대 중 정상적으로 대여되거나, 대여소에서 대기하고 있는 자전거는 1만609대(53%)에 그치고 있다는 게 권 의원 지적이다.

운행하지 못하는 자전거 중 5천198대(26%)는 수리 중이고, 배치를 위해 이동 중인 자전거가 2천817대(14%)였다.

나머지 자전거는 영등포·상암에 있는 따릉이 창고에 놓여 있었다.

이날 서울시의회 정례회에서 시정 질문에 나선 권 의원은 "따릉이 정비인력이 하루 10∼15대의 자전거를 쉴새 없이 수리하고 있지만 36명의 인력으로는 들어오는 자전거를 감당하지 못한다"며 "타이어에 문제가 생긴 경우 어디에 펑크가 났는지 살필 겨를도 없어 새 타이어 바로 교체한다. 그래야 물량을 맞출 수 있다"고 말했다.

타이어 구멍을 단순히 메우는 형태로 수리할 수도 있는데, 바로 교체해 세금이 낭비되고 있다는 것이다.

권 의원은 "따릉이 배송·정비는 3인 1조로 해야 하는데, 지금 인력으로는 배송 차량을 50대밖에 쓰지 못한다"며 대여소로 배송 중인 자전거가 3천대 가까이 되는 이유를 설명했다.

배송 차량에는 따릉이를 15대가량 실을 수 있다.

따릉이를 운영하는 서울시설공단 노동자 가운데 일부 상담직은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급여를 받고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공무직 상담직 직원 1호봉 급여는 기본급과 상여금, 급식비, 최저임금 산입범위에 포함할지를 두고 논란이 있는 보조수당까지 더해도 153만1천800원이었다.

최저임금(2018년 기준)인 월 157만3천770원에 못 미친다.

최저임금 이상을 받는 노동자라 해도 일부는 서울시 생활임금을 적용받지 못하고 있었다.

서울시는 서울시설공단 등 산하기관 노동자와 민간위탁 노동자에게 생활임금을 적용하기로 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지윤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직원들 근무에 변화가 많은 특성이 있어 연말에 임금을 정산해 그다음 해 초에 정산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실체적으로는 최저임금을 위반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나 권 의원은 "매달 정해진 액수(최저임금)가 있는데 나중에 임금을 추가로 주겠는 것은 임금을 체불하는 셈"이라며 "최저임금은 여지없이 지켜야 할 최저선"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내년에 따릉이를 3만대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힌 상태다.

(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