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비격진천뢰 폭발력 비밀은 겉면에 숨은 무수한 기공

비격진천뢰 폭발력 비밀은 겉면에 숨은 무수한 기공
전북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에서 11점이 나온 조선시대 작렬(산산이 흩어짐) 시한폭탄 '비격진천뢰'는 국내 병기사에서 획기적인 유물로 평가됩니다.

전쟁사를 전공한 박재광 건국대박물관 학예실장은 저서 '화염 조선'에서 과거에 화포는 대부분 성벽을 부수거나 함선을 격파하는 데 사용했지만, 비격진천뢰는 우리나라 고유 화기 가운데 유일하게 목표물에 날아가 폭발하는 포탄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비격진천뢰를 만든 사람은 화포장 이장손으로, 1592년 발발한 임진왜란 이전에 고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병기서인 '화포식언해'와 '융원필비' 에는 비격진천뢰를 "체형은 박과 같이 둥글고 부리에는 손잡이 달린 뚜껑이 있다. 완구(화포)에 실어 발사하되 불꽃을 막으려면 진천뢰 심지에 불을 붙이고 나서 완구 심지에 불을 붙인다"고 소개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비격진천뢰는 크기가 비슷한데, 지름이 20㎝ 안팎입니다.

재질은 무쇠이고, 내부는 비었습니다. 안쪽에는 화약과 쇳조각, 발화 장치인 죽통을 넣었습니다.

죽통 속에는 나선형 홈이 있는 목곡이 들었고, 목곡에는 폭발 시간을 조절하는 도화선을 감았습니다.

박 실장은 "빨리 폭발하게 하려면 10번을 감고, 더디게 터지도록 하려면 15번을 감았을 것"이라고 예를 들어 설명한 뒤 "목곡이 원시적 형태의 기폭 장치인 신관 역할을 대신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비격진천뢰에는 위쪽과 옆쪽에 각각 구멍이 있습니다.

죽통을 폭탄 안에 넣고 위쪽 구멍을 막은 뒤 옆쪽 구멍으로 화약을 주입했습니다.

이어 죽통에서 나온 심지에 불은 붙이면 일정 시간이 흐른 뒤 폭발했습니다.

비격진천뢰는 대개 완구에 넣어 발사했습니다.

완구는 크기에 따라 대·중·소로 나뉘며, 비격진천뢰가 없을 때는 돌을 둥글게 다듬어 쏘기도 했습니다.

중국에는 비격진천뢰와 유사한 '진천뢰'라는 폭탄이 있습니다.

도자기나 금속 재질 용기에 화약을 넣는다는 점은 비격진천뢰와 같지만, 기능과 사용법은 차이가 있습니다.

박 실장은 "진천뢰 내부에는 죽통이 없고, 완구로 발사하지 않아 직접 던져 터뜨려야 한다"며 "비격진천뢰는 폭발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완구로 날려 보내는 것이 가능했다"고 강조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비격진천뢰를 컴퓨터 단층촬영(CT) 장비로 찍으면 겉면에 공기 구멍인 기공이 매우 많이 보인다는 점입니다.

학계에서는 이 기공을 비격진천뢰 폭발력의 비밀로 봅니다.

창녕 화왕산성에서 나온 비격진천뢰를 보존처리한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해 개최한 '쇠·철·강' 특별전 도록에서 "기공은 충격에 약한 주물의 강도를 떨어지게 만들어 폭탄이 더 쉽게 터지도록 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