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80달러 육박한 유가에…수입물가지수, 4년 1개월 만에 최고

국제유가가 배럴당 80달러에 육박하자 지난달 수입물가지수가 4년 1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D램 수출물가는 2016년 4월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하며 공급 과잉 우려를 키웠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18년 10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2010=100)는 92.06으로 한 달 전보다 1.5% 올랐다.

수입물가는 8월 0.2% 하락했다가 9월(1.4%) 반등한 후 2개월 연속 상승세를 지속했다.

지수 수준 자체는 93.03을 기록한 2014년 9월 이후 가장 높았다.

수입물가가 상승한 데는 국제유가 탓이 컸다.

10월 평균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79.39달러로 한 달 전(77.23달러)보다 2.8% 올랐다.

구체적으로 원재료 수입물가가 3.1% 상승했다.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이 포함된 중간재는 1.0% 올랐고 자본재(0.5%), 소비재(0.6%) 수입물가도 모두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광산품인 원유(3.7%), 천연가스(LNG·2.8%), 철광석(7.7%)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중간재 중에서는 벙커C유(7.4%), 프로판가스(10.1%) 등 석탄 및 석유제품에서 수입물가 상승 폭이 컸다.

수출물가지수는 88.32로 0.5% 올랐다.

수출물가는 8월 보합세를 보인 이후 9월 0.2% 올랐고 지난달에는 상승 폭을 확대했다.

수출물가지수도 2014년 11월(88.57) 이후 최고였다.

원/달러 환율이 0.9% 상승하며 수출물가를 밀어 올렸다.

농림수산품 수출물가가 0.2%, 공산품은 0.5% 각각 상승했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신선수산물(3.5%), 경유(4.4%), 벙커C유(9.6%), 합금철(14.0%) 등에서 상승률이 높았다.

반면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D램의 수출물가는 4.9% 하락했다.

D램 수출물가는 8월(-0.1%)부터 3개월 연속 내리막길을 걸었다.

D램 수출물가 하락률은 2016년 4월(-10.8%) 이후 가장 컸다.

또 다른 반도체 제품인 플래시메모리 수출물가도 4.3% 떨어졌다.

플래시메모리 수출물가는 작년 11월 이후 꾸준히 하락세다.

시장 안팎에서는 플래시메모리에서 시작한 가격 하락세가 D램으로 옮겨붙은 점에 주목하며 글로벌 반도체 경기가 꺾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다만 한은 관계자는 "최근 D램 공급이 많다는 얘기가 많이 나오지만 이런 상황이 계속 발생할지는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 같은 달과 견줘 보면 수출물가는 1.3%, 수입물가는 10.7% 각각 상승했다.

환율 영향을 제거한 계약통화(실제 계약할 때 쓰는 통화) 기준으로 보면 수출물가는 한 달 전보다 0.3% 하락했으나 수입물가는 0.8% 올랐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