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WSJ "북한이 뉴욕회담 취소했다…'제재 완화' 얻으려 美 압박"

WSJ "북한이 뉴욕회담 취소했다…'제재 완화' 얻으려 美 압박"
미국 뉴욕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북미 고위급 회담이 돌연 연기된 것과 관련해 미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은 "북한이 취소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북한이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의 고위급 회담을 취소했다면서 이는 험난한 양국 외교 과정에 차질을 주고 비핵화 진전에 대한 기대감도 낮추는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같은 보도는 회담을 연기하기로 했다는 미국 정부의 발표와는 다른 것이어서 정확한 진위와 배경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앞서 미 국무부는 11·6 중간선거 직후인 현지시각 어제(7일) 0시쯤 헤더 나워트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북미 고위급 회담이 연기됐으며, 양측의 일정이 허락할 때 다시 만나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나워트 대변인은 성명에서 회담이 연기된 이유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은 "이 같은 움직임은 북한이 조기 제재완화 같은 조치를 얻어내고자 미국을 압박하려는 시도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해석"이라고 전했습니다.

신문은 또 "이는 북한이 핵 무기 프로그램을 제거하기 전까지는 경제적 보상이 없다는 폼페이오 장관의 요구에 대한 북한의 불만 메시지로도 해석된다"고 덧붙였습니다.

CNN 방송은 두 명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은 2차 북미정상회담을 추진하기 전에 먼저 북한으로부터 일종의 양보, 즉 핵 프로그램 사찰 허용 등과 같은 조치를 얻어내려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CNN은 또 북한 역시 제재완화와 같은 조치를 미국이 먼저 해주기를 바랐지만 미국도 먼저 이런 조치를 내줄 의향이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또 CNN 도쿄·서울 특파원인 윌 리플리 기자는 자신의 트위터에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은 제재가 완화되지 않으면 핵활동을 재개할 수 있다"는 트윗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리플리 기자는 "이 소식통은 미국이 완전한 비핵화 이전에 제재 완화에 대한 새로운 의지를 보여주지 않는 한 북미 고위급 회담은 성공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워니싱턴포스트와 뉴욕타임스(NYT) 등 다른 미 언론도 북미 고위급 회담이 돌연 취소된 이유 등과 관련한 배경 기사를 잇달아 싣고 북한 비핵화 협상을 놓고 미 정부 안팎에서 커지고 있는 회의론적 시각을 소개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최근 며칠 사이 조용히 전개된 일련의 상황들은 북미 외교 과정에 중대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며 "사실 미국과 북한은 지난 6월 역사적인 북미정상회담 이후 사이가 더 멀어졌을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특히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 등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협상의 세부내용을 다룰 실무 차원의 협상이 진척이 없다는 점을 이상 신호로 해석했습니다.

실무협상을 이끌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지난 8월 임명된 뒤 아직 상대 협상자인 최선희 외무성 부상과 만나지도 못했다는 것입니다.

뉴욕타임스도 북미 고위급 회담 연기와 관련해 "미국과 북한 간 외교 프로세스가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을 정점으로 이후 헤어나올 수 없는 수렁에 빠졌다"며 "양측의 기대와 요구가 맞지 않았다"고 진단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