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노인 4명 중 1명 '가족 없이 늘 혼밥'…우울증 위험 30%↑"

"노인 4명 중 1명 '가족 없이 늘 혼밥'…우울증 위험 30%↑"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4명 중 1명은 지난 1년간 하루 한 끼조차도 가족과 식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처럼 '혼밥'을 하는 노인들은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노인들보다 우울증 위험이 최대 30%나 높은 것으로 조사돼 평상시 가족들의 관심이 요구됩니다.

성균관대 의대 가정의학과 연구팀(송윤미·강윤화)은 2010∼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4천959명(남자 2천148명, 여자 2천811명)을 대상으로 가족과의 식사빈도와 우울증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최근호에 발표됐습니다.

조사결과를 보면 '지난 1년간 가족과 함께 식사했는가'라는 질문에 전체의 25%(1천202명)가 가족 없이 혼자서 식사했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여성 노인의 경우 혼자서 식사한다는 응답이 33.5%로 남성 노인의 13.1%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하루 1끼 이상을 가족과 함께 식사했다고 답한 노인 중에는 하루 1끼 11.8%(539명), 하루 2끼 18.7%(949명), 하루 3끼 44.5%(2천269명)로 각각 파악됐습니다.

노인들의 이런 식사 습관은 노년기 우울증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전체 노인의 33.8%에서 우울·불안 증상이 시작됐거나 지난 2주간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루 중 한 끼라도 가족과 식사를 하는지에 따라 그 위험도가 최대 30%나 차이가 났습니다.

세부적으로는 가족 없이 혼자 식사하는 노인의 우울증 위험도를 1로 봤을 때 가족과 하루 1끼를 함께 하는 노인은 그 위험도가 20% 떨어졌습니다.

또 하루 2끼 또는 3끼를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노인은 각각 25∼30%, 27∼28%가량 위험도가 낮아졌습니다.

가족과의 식사 횟수는 노인 자살 생각 위험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혼자서 식사하는 노인은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노인에 견줘 그 위험이 최대 33% 높았습니다.

연구팀은 노년기에 가족과 규칙적으로 식사시간을 갖는 게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관계에 안정감을 구축함으로써 우울 증상, 분노 및 기타 심리적 문제에 대한 보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가족 없이 홀로 식사하는 노인은 상대적으로 대인관계에서 상호작용 및 사회적 지지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이로 말미암아 외로움 및 우울감을 느끼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강윤화 교수는 "가족과 함께 모여 대화하고 감정을 나누는 식사시간은 우울 증상 등을 완화하고 친밀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 "혼자 사는 노인이 늘어가고 가족 모임이 줄어드는 추세지만, 자녀 또는 친구 등 누군가와 함께 하는 식사시간이 가지는 중요성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