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하락장 속 '개미'들은 분통…뜨거운 '공매도' 논란

<앵커>

어제(2일) 오르긴 했습니다만 최근에 우리 주식시장 많이 안 좋았죠. 빌린 주식을 왕창 팔아서 주가를 떨어트린 다음에 싼값에 되사서 갚는 세력이 있어서 더 손해가 컸다, 개인투자자들의 불만이 많습니다.

김정우 기자가 이 논란 짚어봤습니다.

<기자>

22개월 만에 코스피 2천 선이 무너지기도 했던 하락장 속에 외국인과 기관투자가들이 주도하는 주식 공매는 폭발적으로 늘었습니다.

지난달 공매도 거래대금은 13조 3천억 원으로 통계 작성 이후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빌려 온 주식을 매도한 뒤 주가가 하락하면 싼값에 매입해 갚는 방식으로 수익을 챙기는 공매도는 하락장에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증시가 13.86% 하락하는 동안 공매도 투자자들은 14.6%의 수익률을 올렸습니다.

공매도 시장에서 소외된 개인 투자자들은 분통을 터뜨립니다.

[이 모 씨/개인투자자 : 기관에서는 공매도라는 시스템으로 떨어졌을 때 반대 매매를 해서 혹은 선물 매매를 통해서 차익 실현을 많이 보다 보니까 사실 잃는 거는 개인 투자자들밖에 없죠.]

특히 지난달 예상을 뛰어넘는 3분기 실적을 발표한 삼성전기도 주가가 크게 하락하면서 멀쩡한 주식의 하락까지 부추긴다는 불신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반면 공매도가 주가 거품을 막고 거래량을 늘려 시장을 활성화하는 순기능이 있다는 반론도 여전합니다.

공매도가 많았던 종목 중에도 주가가 오른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겁니다.

[성태윤/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공매도 자체를 금지하기보다는 불공정한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매우 엄격하게 제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2008년 금융위기 직후 미국, 유럽 국가들이 공매도의 일시 금지조치를 취했던 것은 부작용을 인정했기 때문입니다.

공매도 폐지 여론에 금융당국은 개인의 거래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지만 내부자 정보 이용이나 무차입 공매도 같은 행위에 형사처벌을 적용하는 등 큰 손에만 유리한 불공정한 거래 환경부터 바로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영상편집 : 김정우, VJ : 정민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