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인민해방군 지원받은 中 연구진, 美·英 대학에 대거 파견"

"인민해방군 지원받은 中 연구진, 美·英 대학에 대거 파견"
중국 인민해방군의 지원을 받은 중국 기술진들이 미국을 비롯해 선진국 대학에 대거 파견돼 연구활동을 이어왔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당국이 이들 연구진을 통해 선진 국방기술을 몰래 빼돌린 의혹이 있다는 것이다.

WSJ은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 보고서와 학계 인터뷰를 토대로 "지난 10여 년간 미국을 비롯한 기술선진국에 파견된 중국 과학자와 기술자 2천500여 명이 중국 인민해방군의 후원을 받았다"고 전했다.

미국뿐 아니라 영국, 호주, 캐나다, 독일 등에도 적지 않은 연구원들이 파견됐다고 호주전략정책연구소는 분석했다.

이들 중국 연구원이 발표한 논문은 지난해 730여 건에 달했다.

2007년의 95건과 비교하면 10년새 8배 급증한 수치다.

주로 암호 해독, 자율주행, 퀀텀 물리학 등 최첨단 분야에 집중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업용과 군사용 모두 활용 가능한 분야들이다.

WSJ은 "이들 연구진은 공산당 소속으로, 강도 높은 훈련을 밟고 나서 파견된다"고 설명했다.

일부는 인민해방군의 후원 사실을 감추는 방식으로 선진국 연구소에 들어가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선 대학의 연구소 차원에서는 인민해방군 연관성 여부를 식별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의 최첨단 지식재산권 탈취를 차단하겠다고 나섰지만, 대학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학문적 개방성을 표방하고 있다는 점도 딜레마다.

미 IT매체 쿼츠는 "미국과 영국, 호주 등의 대학들이 알게 모르게 중국군과 협업해온 셈"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