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입소 대기 긴데…공공기관 직장 어린이집 정원 20% 남아돌아

입소 대기 긴데…공공기관 직장 어린이집 정원 20% 남아돌아
공공기관·공기업 직장어린이집 대부분이 정원을 채우지 않은 채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통 어린이집에 들어가려면 입소대기 기간이 평균 100일이 넘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들 공공기관 어린이집을 지역사회에 개방해서 부모의 양육부담을 덜어주는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인 민주평화당 장정숙 의원은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전국에 있는 공공기관·공기업의 직장 어린이집 정·현원 자료를 살펴보니, 대부분 정원 대비 현원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분석결과, 올해 8월 말 기준 전국 공공기관·공기업의 직장 어린이집은 총 549곳이며, 정원은 4만 3,671명으로 집계됐습니다.

하지만 현원은 3만 4,946명으로 전체 정원 대비 20%가량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정원을 채워 운영하는 곳은 전국 34곳, 6%에 불과했습니다.

대구, 대전, 충남지역 공공기관의 직장 어린이집은 정원을 채운 곳이 한 곳도 없었습니다.

장 의원은 "정원 여유가 있는데도 직원 자녀 외의 아동을 받지 않는 등 지역사회의 보육수요를 공공기관이 외면하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반해 사회보장정보원 어린이집 입소대기 시스템을 통해 입소대기를 신청하고서 입소한 아동의 평균 대기일수는 106일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2018년 9월 말 기준 국공립 어린이집 입소대기 일수는 176일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전국 17개 지방자치단체 중 대기일수가 가장 긴 곳은 서울특별시(310일)였고, 전라남도(95일)가 가장 짧았습니다.

장 의원은 "국가 지원을 받는 공공기관이 정원 여유가 있는데도 내부 규정을 이유로 지역 보육수요를 외면하는 것은 안 될 말"이라며 "영유아 보육법을 개정안을 마련해 공공기관·공기업 어린이집의 지역사회 개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국공립 어린이집과 더불어 부모가 선호하는 직장 어린이집은 지난해 도입 30년을 맞았습니다.

직장 어린이집은 1987년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일하는 여성의 보육 부담을 덜어주고자 이듬해 초기 형태인 직장 탁아제도가 도입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1991년에는 직장 어린이집 설치의무제도를 시행하고 1995년 보육교사 인건비 지원, 2000년 직장 어린이집 설치비 지원, 2016년 설치의무 미이행 사업장 이행강제금제도 도입 등 지속해서 직장 어린이집 지원 및 설치독려 사업을 펼쳤습니다.

영유아 보육법에 따라 상시 여성근로자가 300명 이상이거나 상시 근로자 수가 500명 이상인 사업장은 일·가정 양립 차원에서 직장 어린이집을 단독 또는 공동으로 설치해서 운영하거나 다른 지역 어린이집에 근로자 자녀 보육을 맡겨야 합니다.

의무사업장의 사업주가 직장 어린이집을 설치하지 않으면 이행강제금으로 1년에 2회, 1회당 최대 1억 원(연간 최대 2억 원)이 부과됩니다.

정부는 매년 실태조사를 벌여 직장 어린이집 설치의무를 이행하지 않거나, 실태조사에 응하지 않은 사업장은 2개 이상의 일간지와 보건복지부·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1년간 사업장 명단을 게시하고 있습니다.

'2017년 직장 어린이집 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직장 어린이집 설치의무 대상 사업장 1,253곳 중 1,086곳이 자체 직장 어린이집을 설치(839곳)했거나 다른 어린이집에 위탁 보육(247곳)을 맡겼습니다.

직장 어린이집 설치의무를 다하지 않은 사업장은 167곳, 13.3%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