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고 나면 '유독 물질' 하천으로…방지 시설 왜 안 짓나?

<앵커>

공장들 잔뜩 있는 공단에서 만약에 사고가 나면 강으로 심각한 물질들이 흘러들 수가 있습니다. 이걸 방지하는 시설을 그래서 반드시 짓도록 했는데 현실은 역시 달랐습니다.

기동취재 노동규 기자입니다.

<기자>

충북 충주의 한 산업단지.

인근 하천과 맞닿은 곳에 축구장 네 개 반 크기의 공간이 보입니다.

산업단지에서 사고로 오염물이나 유독성 물질이 흘러나올 경우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른바 '완충 저류시설'로 지난 1991년 낙동강 페놀 유출 사고 이후 처음 도입됐는데 2014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 산업단지와 공업단지에는 지자체장이 국비를 지원받아 반드시 짓도록 했습니다.

이 시설이 있어야 할 단지는 전국 141곳.

하지만 조사 결과 '완충 저류시설'이 설치된 곳은 스무 곳에 불과합니다.

[충북 청주시청 관계자 : 예산이 많이 들어가는 공사예요. 1개당 뭐 400억 원대가 들어가고 그래요. 환경부에서 (국비) 70% 지원해준다는데 (그들도) 비용 부담이 많으니까….]

지난해 7월, 시간당 90mm 넘는 폭우로 물바다가 됐던 청주의 산업단지.

당시 입주업체 50여 곳이 쏟아낸 폐수 4천3백 톤이 석남천과 금강 등 인근 하천으로 그대로 흘러가 버렸습니다.

사고 난 폐수처리장에선 지금도 시시각각 방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사고 당시엔 폐수처리가 하나도 안 된 물이 그대로 하천에 흘러갔던 건데 환경부는 지금까지 당시 피해 규모를 집계조차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법 규정대로 완충 저류시설만 있었더라도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는 지적입니다.

[이용득 의원/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 여기서 폭발 사고라든가 누출 사고가 일어나면, 직접 인근 주민 및 강 하류 주민까지 큰 피해를 입게 됩니다.]

전국 산단과 공단에 이 시설을 설치하는 데 필요한 예산은 2조 원.

하지만 최근 5년간 이 시설에 책정된 연간 예산은 평균 178억 원꼴로 이 추세라면 시설을 모두 짓는 데 121년이 걸립니다.

(영상취재 : 김흥기, 영상편집 : 김준희, CG : 변혜인·정현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