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5년 전 이미 '냉각수 유출' 문제…경찰, BMW도 알았는지 추궁

5년 전 이미 '냉각수 유출' 문제…경찰, BMW도 알았는지 추궁
BMW에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을 납품한 국내 업체가 5년 전 이미 부품 결함을 인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BMW의 결함 은폐 여부를 수사 중인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관련 내용을 BMW가 보고 받았는지 조사 중입니다.

BMW는 지난 7월 차량 10만 대 리콜을 발표하면서 EGR 쿨러에서 샌 냉각수가 증발하고 남은 침전물에 불이 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된 EGR 쿨러를 대부분 납품한 국내 업체 코렌스가 5년 전인 2013년 9월부터 이미 하청업체와 다툼을 벌였습니다.

EGR 쿨러에 들어가는 부속품을 만들어 코렌스에 납품한 A사는 2013년 9월 "가스튜브 불량율이 40%에 달한다"며 설계변경을 코렌스에 요청했습니다.

코렌스는 며칠 뒤 "가스튜브 틈(GAP)으로 인한 누수(LEAK) 문제에 대해 이의제기 인정을 불가한다"면서도 "공법이 어렵다는 부분을 일부 인정"한다는 답변을 A사에 보냈습니다.

EGR 쿨러는 엔진을 거쳐 830도까지 치솟은 배기가스를 냉가수로 식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문제가 된 가스튜브는 쿨러 안에서 배기가스와 냉각수가 섞이지 않게 구분하는 가림막 역할을 하는데 설계문제 때문에 튜브의 틈이 벌어져 냉각수가 샌다는 겁니다.

A사와 코렌스는 해당 문제를 두고 소송을 벌였습니다.

2015년 4월 코렌스는 법원에 제출한 답변서에서 "A사가 납품한 부품에 지속적 결함이 발견됐고, 그 부품을 사용한 BMW용 EGR 쿨러에서 하자가 속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이 문제로 BMW와 관계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고, 공급계약 일정상 부득이 부분품 일부를 선별해 BMW에 납품했다"고 덧붙였습니다.

A사 전 직원은 SBS에 "2013~2014년 당시 코렌스 담당자가 '하자가 있는 부분에 대해 문제 해결을 위해 BMW 본사가 있는 독일을 수시로 왔다 갔다'는 말을 했다"고 전했습니다.

자동차관리법은 자동차 제작사가 중대한 결함을 인지한 즉시 관계 부처에 보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코렌스와 A사가 주고 받은 문서와 소송자료를 확보했습니다.

경찰은 코렌스가 해당 분쟁을 BMW에 알렸는지, 그래서 BMW가 중대한 결함을 은폐한 건 아닌지 수사 중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