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올해 입주한 서울 아파트, 분양가 대비 평균 5억 원 상승"

"올해 입주한 서울 아파트, 분양가 대비 평균 5억 원 상승"
올해 입주를 시작한 서울 신축 아파트의 가격이 분양가보다 평균 5억원 오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주평화당 윤영일 의원이 서울시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6월에서 2016년 5월 사이 분양돼 올해 새로 입주한 서울 내 100세대 이상 신축단지 13곳이 분양가 대비 평균 5억원가량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이들 단지 중 현재 매매시세로 따졌을 때 분양가 대비 가격 상승 폭이 가장 높은 단지는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자이였습니다.

2016년 1월 84㎡ 평균 분양가가 14억원이었는데, 현재 시세가 24억7천500만원으로 2년 9개월 만에 10억7천500만원 뛰었습니다.

같은 단지 59㎡ 아파트는 분양가 10억5천만원에서 시세 19억9천만원으로 9억4천만원 상승했습니다.

서초구 반포동 반포래미안아이파크 99㎡는 2015년 11월 분양가가 16억6천만원이었으나 3년 새 7억4천만원 뛰었습니다.

분양 시기가 비슷해도 강남·북 신축 아파트의 상승 폭은 상당한 수준으로 차이가 났습니다.

반포래미안아이파크와 같은 시기에 분양한 은평구 응암역효성해링턴플레이스는 분양가 대비 상승 폭이 59㎡ 9천만원, 71㎡ 8천만원, 84㎡ 7천500만원 수준이었습니다.

동대문구 전농동 동대문롯데캐슬노블레스의 분양가 대비 상승 폭은 59㎡ 3억8천만원, 84㎡ 3억3천만원이었습니다.

윤영일 의원은 "분양권 당첨 이후 입주까지 평균 2년 반 정도의 기간 월평균 1천666만원 불로소득이 생긴 셈"이라며 "이런 현상은 투기세력이 아파트 분양시장에 몰리게 하고 집값을 상승시켜 실수요자와 서민들에게 고스란히 피해를 준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윤 의원은 "후분양제 의무화, 분양원가 공개, 토지임대부, 환매조건부 주택 확충, 주택비축은행제도 도입 등으로 주택정책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꾸어야만 집값 안정화를 이룰 수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