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올해 입주한 서울 아파트, 분양가 대비 평균 5억 원 상승"

"올해 입주한 서울 아파트, 분양가 대비 평균 5억 원 상승"
올해 입주를 시작한 서울 신축 아파트의 가격이 분양가보다 평균 5억 원 오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주평화당 윤영일 의원이 서울시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6월에서 2016년 5월 사이 분양돼 올해 새로 입주한 서울 내 100세대 이상 신축단지 13곳이 분양가 대비 평균 5억 원가량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이들 단지 중 현재 매매시세로 따졌을 때 분양가 대비 가격 상승 폭이 가장 높은 단지는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 자이였습니다.

2016년 1월 84㎡ 평균 분양가가 14억원이었는데, 현재 시세가 24억7천500만원으로 2년 9개월 만에 10억7천500만원 뛰었습니다.

같은 단지 59㎡ 아파트는 분양가 10억5천만원에서 시세 19억9천만원으로 9억4천만원 상승했습니다.

서초구 반포동 반포래미안아이파크 99㎡는 2015년 11월 분양가가 16억6천만원이었으나 3년 새 7억4천만원 뛰었습니다.

분양 시기가 비슷해도 강남·북 신축 아파트의 상승 폭은 상당한 수준으로 차이가 났습니다.

반포래미안아이파크와 같은 시기에 분양한 은평구 응암역효성해링턴플레이스는 분양가 대비 상승 폭이 59㎡ 9천만원, 71㎡ 8천만원, 84㎡ 7천500만원 수준이었습니다.

동대문구 전농동 동대문롯데캐슬노블레스의 분양가 대비 상승 폭은 59㎡ 3억8천만원, 84㎡ 3억3천만원이었습니다.

윤영일 의원은 "분양권 당첨 이후 입주까지 평균 2년 반 정도의 기간 월평균 1천666만원 불로소득이 생긴 셈"이라며 "이런 현상은 투기세력이 아파트 분양시장에 몰리게 하고 집값을 상승시켜 실수요자와 서민들에게 고스란히 피해를 준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윤 의원은 "후분양제 의무화, 분양원가 공개, 토지임대부, 환매조건부 주택 확충, 주택비축은행제도 도입 등으로 주택정책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꾸어야만 집값 안정화를 이룰 수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