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의당 창당 6주년…"21대 총선서 제1야당으로 도약"

정의당 창당 6주년…"21대 총선서 제1야당으로 도약"
정의당이 오늘(21일)로 창당 6주년을 맞았습니다.

규모로는 지역구 1석과 비례대표 4석 등 의석수 5석의 '미니 정당'이지만, 지지율에선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을 위협할 정도의 존재감을 가진 정당으로 거듭났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정의당은 그동안 소위 '마이너'를 벗어나지 못하던 진보정당의 대중화를 이뤄냈다고 자평하면서 오는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 한국당을 대체하는 제1야당으로 거듭나겠다는 목표도 세웠습니다.

지난 2012년 10월 '진보정의당'으로 출범한 정의당은 이듬해 7월 '정의당'으로 당명을 바꿔 달았으며 현재 7개 원내정당 중 가장 오랜 기간 같은 당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후 당의 저변을 꾸준히 넓혀온 정의당은 지난해 대선을 기점으로 대중정당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대선 후보로 나섰던 심상정 의원은 교섭단체 정당 후보들에게 밀리지 않는 존재감을 과시했고, 실제 선거에서도 유승민 당시 바른정당 후보의 득표율과 거의 비슷한 6.17%의 득표율을 기록했습니다.

부침을 거듭한 올해는 정의당에는 의미가 큰 해입니다.

지난 4월 2일 당시 6석이었던 정의당은 14석의 민주평화당과 공동교섭단체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을 만들어 원내 교섭단체에 처음 진출했습니다.

고 노회찬 전 의원이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초대 원내대표를 맡아 국회 특수활동비 반납에 앞장서는 등 진보정당답게 개혁적 목소리를 내며 존재감을 드러냈습니다.

그러다 노 전 의원이 '드루킹' 김동원 씨 측으로부터 정치자금을 수수했다는 의혹이 불거졌고, 공동교섭단체 구성 넉 달이 채 안 된 7월 23일 노 전 의원이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당은 큰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당의 큰 자산을 잃은 데다 공동교섭단체 붕괴로 충격이 컸지만, 노 전 의원을 향한 애도 물결이 확산하면서 당 지지율이 급상승, 한국당 지지율을 오차범위 내에서 추격하기도 했습니다.

여세를 몰아 정의당은 21대 총선에서 제1야당 도약의 목표를 세웠지만, 거대 양당에 유리한 현 선거제도 개편 없이는 한계가 뚜렷한 만큼 선거제 개편 논의를 추동하는 데 당력을 집중할 계획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