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파트 관리비·지하철역 공기질…서울시 '공공데이터' 전면개방

서울시는 서울시와 산하기관에서 운영하는 모든 시스템에 대해 2020년까지 공공데이터를 전면 개방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서울시가 제공하는 버스·지하철 실시간 도착 정보처럼 각종 공공데이터를 시민들이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개방은 단순 공개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데이터를 파일 형태로 내려받거나 관련 앱을 개발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시는 2012년 5월부터 본청, 사업소, 투자출연기관, 자치구의 공공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개방해 현재 5천93개의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습니다.

시는 올해 공공데이터 전수조사를 통해 개방 대상 423개 시스템을 추가 선정해 하반기 80개 시스템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http://data.seoul.go.kr)을 통해 우선 개방합니다.

이어 2019년 170개 시스템, 2020년 173개 시스템을 연차별로 개방해 2020년까지 서울시 공공데이터 전체 개방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올해는 시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분야인 교통분야 '공공자전거, 장애인콜택시, 교통안전시설물', 환경분야 '소음측정, 실내공기질, 수질측정, 태양광발전', 주택건설분야 '아파트 관리비', 일반행정분야 '시민참여예산' 등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한 80개 시스템, 122종의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로 공개해 많은 시민이 이용할 수 있게 할 예정입니다.

특히 센서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실시간 사물인터넷(IOT) 데이터를 다수 개방합니다.

주요 개방 실시간 IOT데이터는 지하철 역사 내 실내공기질, 태양광발전량, 수질측정, 공공자전거 이동경로, 장애인콜택시 이동경로, 기상관측 데이터 등입니다.

서울시 관계자는 "각종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앱개발 등이 가능하다"며 "데이터 제공시 개인정보는 제거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아파트단지 및 아파트 회계내역(관리비, 재무재표, 정기수선충당금 등), 주거복지(저소득 주택수리 가구, 주택수리내역), 개원 예정 어린이집, 식품방사능 측정정보, 세이프약국, 장애인시설, 건강관리의사 등 실생활과 밀접한 데이터도 개방합니다.

김태균 서울시 정보기획관은 "서울시 공공데이터 전면 개방으로 앱 개발이나 빅데이터분야 창업 등에 유용하게 쓰여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