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제주하수처리장 2025년까지 증설 13만t→22만t…시설 지하화

제주하수처리장 2025년까지 증설 13만t→22만t…시설 지하화
▲ 강창석 제주도 상하수도본부장이 지난해 9월 도청 기자실에서 제주하수처리장 증설 및 전면 개량 사업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인구와 관광객 증가로 넘쳐나는 오수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켰던 제주하수처리장 증설계획이 마련됐다.

제주도는 제주시 도두동에 있는 제주하수처리장을 증설하는 '제주(도두) 공공 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을 내년부터 2025년까지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제주하수처리장은 제주시 동(洞) 지역 하수처리를 담당하는 곳으로, 현대화사업을 통해 현재 1일 13만t인 처리 용량을 22만t으로 증설한다.

이는 상주인구 44만 명과 관광인구 21만 명 등 총 65만 명이 배출하는 오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설계다.

총사업비는 3천887억원(국비 954억원, 지방비 2천933억원)이다.

현대화사업이 완료되면 제주하수처리장 전체 면적 11만1천466㎡의 3분의 1 정도가 남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은 용지는 추가 증설 때 활용할 방침이다.

공사는 무중단 기법을 사용해 공사 기간에 오수 처리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철거 대상 시설을 대체할 시설을 먼저 시공해 가동하면서 기존 시설을 철거해 다음 단계 공사 용지를 확보하는 방식이다.

전체 시설은 지하에 넣어서 악취문제를 근본적으로 없애고, 상부에는 주민들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을 조성해 친환경 하수처리장을 만든다.

도는 지난 6월 이 같은 내용의 광역하수도 정비 기본계획 변경안에 대해 환경부 승인을 받았다.

현재는 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 기본방향 용역을 시행하고 있다.

내년 초 건설사업관리(CM) 및 환경영향평가 용역 등을 시행하고 나서 연말에 착공할 계획이다.

사업은 건설사업관리와 설계시공 일괄 방식(턴키)으로 추진한다.

토목, 건축, 기계, 전기, 계측제어, 조경 등의 분야에는 지역 업체의 참여를 보장한다.

도는 행정부지사를 총괄로 하는 기획단을 구성해 예산 지원 및 분석, 전담조직 신설, 갈등 민원 해소, 해양오염 방지 등 종합적인 행정지원을 한다.

지역 주민과 전문가, 행정이 함께 참여하는 제주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 추진위원회도 별도로 구성해 쟁점사항별로 토론과 협의를 거쳐 공개적으로 투명하게 추진한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정투자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종합적인 공공 하수처리 시스템을 구축해 청정 제주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하수처리장 주변 수질 문제와 처리장 증설에 따른 주민과의 갈등, 과다한 중계펌프장 등 관리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내년에 인력과 재정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안정적인 하수처리를 위해 주민 소통, 환경, 해양, 관광 등 관련 부서와 협력하는 종합대책을 이달에 수립하겠다고 약속했다.

(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