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상수지 최장 78개월 연속 흑자…여행수지 적자 7개월 만에 최대

경상수지 최장 78개월 연속 흑자…여행수지 적자 7개월 만에 최대
글로벌 교역 회복세, 반도체 수출 호조 속에 경상수지가 사상 최장 흑자행진을 이어갔습니다.

휴가철을 맞아 해외여행객이 늘며 여행지급액은 역대 2번째로 많아졌고 여행수지 적자는 7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2018년 8월 국제수지(잠정)'를 보면 8월 경상수지는 84억4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경상수지는 2012년 3월부터 계속된 사상 최장 흑자 기록을 78개월로 늘렸습니다.

흑자 규모는 전월(87억6천만달러)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상품수지는 112억4천만달러 흑자를 냈습니다.

세계 교역 증가세, 석유제품·화학제품 등 주력 품목 단가 상승, 반도체 호조에 힘입어 상품 수출이 532억7천만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상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했습니다.

상품수입도 9.2% 늘어난 420억3천만달러였습니다.

서비스수지는 21억1천만달러 적자를 냈는데, 올해 5월(20억9천만달러) 이후 가장 작았습니다.

서비스수지를 세부적으로 보면 여행수지가 15억4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적자 규모는 작년 8월(14억1천만달러 적자)보다 늘어 올해 1월(21억6천만달러) 이후 최대입니다.

중국인·일본인을 중심으로 입국자 수가 늘며 여행수입이 14억달러로 올해 4월(14억3천만달러) 이후 최대였지만 여행지급이 29억4천만달러를 기록한 탓입니다.

여행지급액 규모는 올해 1월(32억4천만달러)에 이은 역대 2위로, 8월 출국자 수가 252만명으로 역대 2위로 늘었기 때문입니다.

한편 작년 하반기∼올해 상반기 미국의 대 한국 무역수지는 206억3천만달러 적자(한국 기준 흑자)였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는 3%가 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국은 미국이 내세운 환율조작국 지정 3가지 요건 중 ▲ 대미 무역수지 200억달러 초과 ▲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3% 초과 등 2가지를 충족하는 셈입니다.

그러나 한은 관계자는 "외환시장에서 지속적인 일방향 시장 개입 요건은 해당 사항이 없다"며 환율조작국 가능성을 낮게 점쳤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