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고양 저유소 화재, 송유관공사 민영화 영향 있었나

고양 저유소 화재, 송유관공사 민영화 영향 있었나
지난 7일 불이 난 경기도 덕양구 고양저유소의 안전 관리에 문제점이 노출되면서 관리 주체인 대한송유관공사의 민영화 영향도 있었는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고양경찰서는 오늘(9일) 수사 결과 대한송유관공사 경인지사 측이 저유소 탱크 내부에 불이 옮겨붙기 전 최초 18분간 화재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으며, 이는 휘발유 탱크 외부에 화재 감지센서가 없기 때문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대한송유관공사가 과거 2001년 민영화된 이후 시설 안전관리에 대한 책임이 분산되거나 소홀해진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됐습니다.

대한송유관공사는 국내 유일의 송유관 운영 기업으로 경질유 소비량의 58%를 수송하는 에너지 물류 전문 기업입니다.

1990년 1월 정부와 정유사 5곳·항공사 2곳이 합작으로 세웠다가, 정부의 민영화 계획에 따라 2001년 민영화됐습니다.

민영화 과정에서 대한송유관공사의 지분을 최대주주 SK이노베이션(41.0%)을 비롯해 GS칼텍스(28.62%)·산업통상자원부(9.76%)·에쓰오일(8.87%)·현대중공업(6.39%)·대한항공(3.10%) 등이 보유하게 됐습니다.

이 때문에 업계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최대주주를 비롯한 주주 정유사들에 시설 안전관리 문제 등 화재 관련 책임이 없는지로 쏠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SK이노베이션은 지배 구조상 대한송유관공사의 경영에 참여하는 방식이 아니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SK이노베이션 측은 언론 통화에서 "1대 주주이기는 하지만 이사회 의결권을 갖고 경영에까지 참여하려면 50% 이상의 지분이 있어야 한다"며 "투자회사의 개념이지 대한송유관공사 경영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대한송유관공사 측 역시 통화에서 "정유사들이 주주인 건 맞지만 우리는 별도의 법인이기 때문에 경영은 각자 하는 것"이라며 "시설관리의 책임은 우리에게 있다"고 말했습니다.

공사 측은 또 오늘 경찰 수사결과 발표 중 '탱크 외부에 화재 감지센서가 없었다'라는 부분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습니다.

저유소 외벽에는 감지센서가 없었으나, 저유소에서 기름을 덮어 불에 공기가 닿는 걸 막아주는 방식으로 일종의 지붕 역할을 하는 '플로팅 루프' 위에 불꽃 감지장치가 설치돼 있었다는 것입니다.

대한송유관공사 측은 "화재가 발생한 곳과 불꽃 감지장치 간에 거리가 좀 있다 보니 폭발 전 화재를 감지할 수 없던 상황이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