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여야, 6개 특위 구성 합의 실패…남북특위 입법권 쟁점

여야, 6개 특위 구성 합의 실패…남북특위 입법권 쟁점
여야 3개 교섭단체 원내대표가 점심 회동을 갖고 국회 내 비상설 특별위원회 구성 문제를 놓고 담판을 벌였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자유한국당 김성태,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오늘(8일) 여의도에서 오찬을 함께하며 특위 구성, 헌법재판관 국회 인준 등 정기국회 현안을 논의했습니다.

특히 마지막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등 6개 특위 구성안을 놓고 막판 조율에 나섰지만 합의에 실패했습니다.

앞서 3당 원내대표는 지난 5일 국회 비공개 회동에서 정개특위와 사개특위를 포함한 6개 특위를 가동하는 데 잠정 합의한 바 있습니다.

홍 원내대표는 오찬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논의만 했고 결론은 없었다"며 "오후에 원내수석부대표들 간 회동을 통해 다시 협상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홍 대표는 "오늘이라도 특위 구성을 하려고 했지만 한국당이 여전히 정개특위 최종 명단을 제출하지 않고 있다"며 "일단 특위구성을 한국당이 해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회동에서 민주당과 한국당은 사개특위 구성과 관련해 비교섭단체 위원 1명에 대한 추천 권한을 놓고 맞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당은 추천 권한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민주당은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한 민주당이 남북경제협력특위에 사개특위나 정개특위처럼 입법권을 부여하자고 주장한 데 대해 한국당은 당초 합의사항과 다르다며 대립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민주당에서 또 다른 주장이 나와서 6개 특위의 구성과 활동 개시가 지장을 받게 됐다"며 "각 당 사정이 있겠지만 이 문제가 의외로 풀리지 않아 안타깝다"고 했습니다.

원내대표들 간 합의가 무산되면서 특위 구성 협상은 다시 여야 3당 원내수석부대표 테이블로 넘어갔습니다.

한편, 특위 구성 파행과 관련해 비교섭단체인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은 나란히 한국당에 책임을 물었습니다.

평화당 장병완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당은 야당이 유리한 국감에만 참여하고 특위 운영에는 아예 응하지 않고 있다"며 "이는 사실상 태업"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도 "한국당은 국민 요구에 맞게 정개특위 명단을 빨리 제출해야 한다"고 가세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