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민주당 "비핵화 진전 확인하는 순간" 한국당 "구체적 진전 없어"

민주당 "비핵화 진전 확인하는 순간" 한국당 "구체적 진전 없어"
여야 각 당은 7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의 4차 방북 성과 및 문재인 대통령과의 면담 결과를 두고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폼페이오 장관이 '조속한 북미정상회담 개최'를 골자로 한 방북 결과를 문 대통령과 면담한 자리에서 설명한 것을 근거로 '한반도 비핵화의 진전을 확인했다'며 환영한 반면,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북한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진전은 없는 것 같다'고 낮게 평가했다.

민주당 강병원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한반도 비핵화의 진전을 국제사회가 확인하는 순간"이라며 "더이상 한반도에서 비핵화를 확인하기 전에 북한과의 관계 정상화에 한발도 나아갈 수 없다는 아집으로 8천만 겨레가 나아가는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길'을 막아설 수는 없게 됐다"고 말했다.

강 원내대변인은 "국회도 판문점선언과 평양선언의 비준동의 등 미뤄둔 숙제를 할 때"라며 "한반도 평화의 진전이 되돌릴 수 없는 '항구적 평화'로 정착되도록 법과 제도로 뒷받침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당도 냉전 시대의 오래된 안경을 벗고 아집도 걷어내고 대한민국과 8천만 겨레가 나아갈 평화와 번영된 미래를 향한 길 닦기에 함께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반면 한국당 윤영석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폼페이오 장관의 오늘 평양방문에서 북한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진전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당은 미북 간 협상으로 북한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을 거둬 조속한 시일 내 미북정상회담이 개최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윤 수석대변인은 "2차 미북정상회담의 목적은 북한의 비핵화를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미북관계 개선에 있다"며 "북한의 핵무기, 핵물질, 핵시설의 전면적인 신고와 사찰 및 검증, 완전한 폐기에 대한 논의가 북한 비핵화 협상의 첫 단추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간선거를 앞두고 북핵 성과에 집착해 미북 간에 북핵 리스트 신고는 빠진 채 영변 핵시설 폐기와 종전선언을 맞교환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바른미래당 김삼화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미국과 북한이 빠른 시일 내 2차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한 것과 북한의 비핵화 조치 및 이에 상응한 미국의 조치에 대한 협의가 진행된 것을 긍정 평가한다"며 "진전된 비핵화 협의가 북미정상회담에서 실질적인 비핵화의 결실을 이루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비록 오늘 영변 핵시설 폐기와 종전선언이 합의될 수도 있다는 예상은 빗나갔지만 '오늘 북한 방문에서 생산적인 대화를 나눴고, 또 한걸음 내디뎠다'는 폼페이오의 평가는 비핵화가 진전되고 있음을 보여줬다"며 "문재인정부는 북미회담을 앞두고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북한 비핵화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평화당 박주현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곧 있게 될 북미회담에서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실질적인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북미의 합의 과정에서 한국의 역할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청와대와 정부, 국회가 각자의 역할을 다하면서 한반도 평화의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정의당 정호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 조치에 대한 미국의 상응 조치 논의는 통 큰 빅딜에 성큼 다가섰다는 시그널"이라며 "이제 정치권도 예외 없이 '한반도 평화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 반평화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면 더이상 판문점선언 국회 비준을 거부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