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폼페이오 "목표 다다르면 정전협정 대체 평화협정 서명…中 참여"

폼페이오 "목표 다다르면 정전협정 대체 평화협정 서명…中 참여"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향후 북한과의 협상이 목표에 다다르면 정전협정을 대체하는 평화협정에 서명하게 될 것이고 중국도 그 주체로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4차 방북을 위해 워싱턴DC를 출발한 폼페이오 장관은 첫 방문지인 일본으로 향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최선희 외무성 부상의 중국, 러시아 방문에 대한 질문을 받았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항상 최선희와 대화를 나누고 그를 잘 안다면서 중국이 문제 해결의 일원이 될 것이라는 걸 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일이 잘돼서 목표에 다다를 때 정전협정을 끝내는 평화협정에 서명하게 될 것이고 궁극적으로 중국이 그 일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이행하기를 지속하는 노력을 하는 데 대해 환영하며, 이와 관련해 중국과 아주 많은 이야기를 나눴고, 이 과정에서 중국이 참여하는 데 대해 가치 있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북한이 그들의 오랜 이웃인 중국과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발언은 북미간 비핵화와 체제보장의 빅딜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미국 측 상응 조치에 해당하는 평화협정 체결이 이뤄질 것이라는 걸 확인한 것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종전선언을 입구로 하고 평화협정을 거쳐 국교정상회를 종착지로 하는 체제보장 로드맵을 거론한 바 있습니다.

특히 무역전쟁으로 촉발된 미중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가운데 중국이 북한 문제 해결의 일원이자 평화협정 체결 주체 중 하나라는 걸 명시한 건 무역전쟁과 별개로 대북 대응에서는 중국과의 공조를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됩니다.

폼페이오 장관이 북·중 밀착의 불가피성을 인정한 건 북미간 교착 국면에서 미국이 중국 배후론 내지 개입론을 제기해온 것과는 온도 차가 있는 것이어서 대중 대응 전략의 수정으로 이어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