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요즘 하늘 눈부시게 파랗죠"…8∼9월 내내 미세먼지 '좋음'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여름부터 완연한 가을로 접어든 최근까지 한반도에는 그림처럼 파란 하늘이 펼쳐진 날이 많았다.

이런 사실은 미세먼지(PM-10) 수치로도 알 수 있다.

1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8∼9월 두 달간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가 '보통'(31∼80㎍/㎥) 수준이었던 날은 총 8일뿐이고, 나머지는 전부 '좋음'(0∼30㎍/㎥) 수준이었다.

하늘을 뿌옇게 뒤덮은 미세먼지로 시민들이 외출을 삼가고 공기 청정기와 마스크가 불티나게 팔리던 게 불과 몇 달 전 얘기다.

겨울과 봄에는 대기오염에 신음하다가 여름과 가을에는 마스크를 벗어 던지는 양상이 최근 거의 해마다 반복된다.

여름에는 장마철에 많은 비가 내리고 소나기도 잦아 대기 중 오염물질이 씻겨 내려간다.

겨울에 주로 중국 쪽에서 북서풍이 불어오는 것과 달리 여름에는 청정한 북태평양 쪽에서 남동풍이 많이 분다는 점도 한반도의 미세먼지 농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미세먼지의 구성요소인 질산염의 성질과도 관련이 있다.

허국영 국립환경과학원 연구관은 "질산염은 휘발성이 강해 여름철의 온도, 습도 조건에서는 미세먼지가 되기 어렵다"며 "질산염이 미세먼지 형태가 아니라 주로 기체에 존재하는 것도 여름과 초가을의 파란 하늘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계절이 여름에서 가을로 바뀌면 하늘이 더 파랗게 보인다.

여름철에는 북태평양에서 불어온 바람으로 습도가 높아 대기가 청정해도 마치 옅은 구름이 낀 것처럼 하늘이 뿌옇게 보일 때가 적지 않다.

반면, 남서쪽에서 건조한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에는 대기 중 수분 입자가 줄어들어 마치 파란색 물감을 하늘에 풀어놓은 듯한 모습이 나타난다.

그러나 요즘 같은 맑은 대기는 계절이 겨울로 접어들면서 오염 농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나라 안팎에서 모두 난방 수요가 많아지고 다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아 북서풍이 불면 공기 질이 지금보다 나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