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금융시장 충격 없었다…정부 "자금 유출 가능성 크지 않아"

<앵커>

미국 경제가 살아나면서 올 들어 벌써 세 번째 금리를 올렸습니다. 경기침체 때문에 미국 금리를 쫓아가기 어려운 우리 경제에는 상당한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데요. 한미 간 금리 차가 커지면서 국내의 외국자본 이탈 가능성, 그리고 가계 대출의 이자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흥수 기자입니다.

<기자>

어제(27일) 코스피는 외국인 매수세가 살아나 석 달 만에 2,350선을 돌파했습니다. 원 달러 환율도 안정세였습니다.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에도 금융시장에 충격이 없었습니다.

[김동연/경제부총리 : 우리나라의 건실한 경제기반이나 과거 몇 차례 유사한 사례 등을 감안할 때 시장의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하고 있 습니다.]

문제는 미국 중앙은행이 올 연말에 한 차례, 내년에도 몇 차례의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는 점입니다. 한미 금리 역전 상태가 장기화하고 격차가 더 벌어지면, 외국인 자금의 대규모 이탈을 부를 수 있습니다.

[조영무/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상대적으로 높아진 외국의 투자수익률을 감안해서 외국인 자금이 국외로 빠져나갈 경우에는 국내 금융시장에서 채권 수익률과 같은 시중 금리가 빠르게 올라갈 수 있겠고요.]

국내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아도 시중 금리가 따라 올라갈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가계 부채가 1천500조까지 불어난 상황에서 취약계층의 이자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터키와 아르헨티나 같은 신흥국에선 이미 미국의 긴축에 따른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어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도 불안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현재로선 자금이 급격히 유출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신흥국 움직임과 미-중 무역분쟁 등 대외 변수를 예의주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