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시리아 북서부 피란민 '집으로'…"완충지대 합의후 7천명 귀가"

시리아 북서부 피란민 '집으로'…"완충지대 합의후 7천명 귀가"
러시아가 시리아 반군의 마지막 거점에서 전면 공세에 나서지 않기로 합의한 후 피란민이 대거 고향에 복귀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영국에 본부를 둔 시리아내전 감시단체 '시리아인권관측소'는 러시아·터키의 시리아 이들립주(州) '비무장지대' 설치 발표 후 이틀 새 약 7천명이 귀가했다고 19일(다마스쿠스 현지시간) 밝혔습니다.

귀가한 피란민 다수는 이들립 남동부와 인근 하마주(州) 북부 주민이라고 시리아인권관측소는 설명했습니다.

이달 4일 러시아·시리아군의 이들립 공습이 재개되자 대규모 군사작전을 우려한 주민의 피란 움직임이 시작됐습니다.

앞서 몇 주간 시리아군은 이들립 주변으로 병력을 보강하며, 전면 공세가 임박했다는 신호를 보냈습니다.

이달 7일 테헤란에서 열린 러시아·이란·터키 정상회의에서 휴전 합의가 불발되고 공습이 계속되자 피란민 규모가 4만명에 육박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17일 소치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비무장지대를 설치하기로 합의하고 러시아군이 공격을 중단하기로 함에 따라 긴장이 급격히 완화됐습니다.

터키 인접 국경 지역 난민캠프에 머무는 피란민 대부분도 귀향 기대를 드러냈다고 AFP통신이 전했습니다.

한편 시리아 정부와 '온건' 반군, 국외 반정부 세력이 이번 합의를 반겼지만 일부 '급진' 조직은 비무장지대 합의에 이미 반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시리아인권관측소에 따르면 '안사르 알타우히드' 등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 구성 조직과 연계 조직 가운데 몇 개 단체가 비무장지대 합의를 거부했습니다.

HTS는 옛 알카에다 시리아지부 '자바트알누스라'가 개명과 군소조직 합병을 거쳐 형성된 상위 조직입니다.

비무장지대 합의를 강하게 거부하는 조직은 대체로 돌아갈 곳이 마땅치 않은 외국인 위주인 경우라고 시리아인권관측소는 설명했습니다.

(연합뉴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