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美 대법관 후보의 성폭력 의혹에 워싱턴 '들썩'…"FBI 수사하라"

고교 시절 성폭행 미수 의혹이 제기된 브렛 캐버노 미국 연방대법관 지명자의 의회 인준 투표를 앞두고 민주당 의원들이 투표 연기와 수사를 주장하고 나서는 등 파문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은 투표 전에 피해 여성의 진술을 청취해야 한다는 입장이며 일부 공화당 의원도 이에 동조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또 이번 사안이 11월 중간선거에 영향을 미칠 변수로도 거론된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민주당 의원들은 20일로 예정된 캐버노 지명자의 상원 법사위원회 인준 투표를 연기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당 다이앤 파인스타인(캘리포니아) 상원의원은 제기된 의혹이 "매우 심각한 것"이라며 "임명이 이뤄지기 전에 연방수사국(FBI)이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몇몇 민주당 의원도 인준 투표가 연기돼야 한다고 말했다고 AP는 전했다.

공화당 소속의 상원 법사위원인 제프 플레이크(애리조나) 의원 역시 의회가 피해자의 이야기를 더 듣기 전에는 투표하지 말아야 한다며 인준 절차 연기를 촉구하는 민주당의 입장에 동조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그러나 일정 변경은 곤란하다는 것이 공화당의 대체적인 시각으로 보인다.

척 그래슬리(공화·아이오와) 상원 법사위원장의 대변인인 테일러 포이는 성명에서 캐버노 지명자에게 제기된 의혹이 35년도 더 지난 고교 시절의 일이며 "확인되지 않은 혐의"라고 지적했다.

공화당 의원들은 10월 1일 대법관 임기가 시작하기 전에 인준을 관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캐버노 후보의 지명을 철회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 백악관 관리가 말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캐버노 지명자는 지난 14일 백악관을 통해 내놓은 성명에서 "나는 절대적으로 명백히 혐의를 부인한다"고 말했다.

앞서 팔로알토 대학 심리학과 교수인 크리스틴 포드(51)는 1980년대 초의 여름날 메릴랜드 주의 한 집에서 열린 고교생 모임에서 캐버노와 그 친구가 자신을 침실에 가둔 뒤 캐버노가 자신을 침대 위로 몰아넣었으며 이는 '성폭행 미수'였다고 주장했다.

앞서 유사한 성추문 의혹 논란이 27년 전인 1991년 클래런스 토머스 대법관의 인준 당시에도 제기돼 타격을 준 바 있다.

평등고용기회위원회(EEOC)에서 근무했던 토머스 당시 지명자가 위원회 동료였던 애니타 힐 변호사를 성희롱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에 휩싸였지만 결국 인준을 받았다.

외신들은 이번에 캐버노를 둘러싸고 벌어진 논란은 연방대법원이 강경 보수로 가기를 원하는 백악관과 공화당을 위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2006년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에 의해 판사로 임용된 보수 법조인인 캐버노가 합류하면 연방대법원은 보수 5명, 진보 4명으로 구성돼 무게추가 '오른쪽'으로 기울게 된다.

캐버노의 성폭행 미수 논란은 과거와 달리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미투' 운동은 물론 11월 중간선거철과 맞물려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는 이번 의혹이 '미투' 운동을 격화시키는 위험을 무릅쓰고라도 캐버노 지명자에게 찬성표를 던질지를 결정해야 하는 중도파 상원의원들에게 심대한 압박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또한 중간선거에서 특히 도시 교외 지역 여성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애쓰고 있는 공화당 의원들에게 중대한 도전이 되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WP도 이번 의혹이 트럼프 대통령이 두 번째로 지명한 대법관 후보의 임명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으며 중간선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WP는 만약 공화당이 의혹에도 불구하고 지명을 밀어붙일 경우 중간선거에서 특히 도시 교외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유권자들의 반발에 직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신문에 따르면 과거 1992년에도 토머스 대법관 인준 당시 성추문 의혹이 불거졌음에도 인준이 강행된 여파로 수십 명의 여성 후보자들이 선출된 바 있다.

한편 FBI는 캐버노 지명자의 의혹을 형사 문제로서 수사하는 것은 계획하고 있지 않다고 WP는 전했다.

그러나 파인스타인 의원은 "FBI가 캐버노 지명자의 과거 배경 확인 작업의 일부로서 이를 검토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