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메르스 안정 국면?…확진자 발생 닷새째 추가 감염자 없어

메르스 안정 국면?…확진자 발생 닷새째 추가 감염자 없어
메르스 확진자 발생 닷새째인 오늘(12일) 우려했던 추가 감염자가 나오지 않는 등 메르스 국면이 일단 '안정상태'로 접어드는 모양새입니다.

다만, 보건당국은 메르스 최대 잠복기가 14일인 점을 고려해 현재 감시 영역을 벗어나 있는 외국인 등 접촉자 파악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 등에 따르면, 쿠웨이트 출장에서 돌아온 후 메르스 확진을 받은 61살 A씨의 접촉자 가운데 오늘까지 고열, 기침, 가래 등 메르스 증상을 보여 '의심환자'로 분류된 11명(밀접접촉자 1명·일상접촉자 10명) 중 10명이 확진 검사에서 '음성'으로 확인됐습니다.

나머지 1명은 1차에서 '음성' 판정을 받고 2차 검사 대기 중입니다.

A씨 접촉자와는 별도로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로 출장을 다녀온 뒤 메르스 의심 증상이 나타난 한국인 여성 1명도 1차 검사에서 '음성'으로 확인됐습니다.

어제 두바이에서 대한항공을 이용해 정오쯤 인천공항으로 입국한 이 여성은 검역 과정에서 메르스 의심환자로 분류돼 곧바로 격리됐으며 서울의료원으로 옮겨 검사를 받아왔습니다.

2차 검사에서도 음성이 나오면 최종적으로 의심환자에서 제외됩니다.

A씨의 상태도 안정적입니다.

A씨가 입원한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입원할 때부터 산소 부족이나 혈압 저하 등 중증으로 볼만한 증상이 없었고, 현재 일부 증상은 소강상태에 접어들었습니다.

병원 관계자는 "처음부터 중증 증상은 없었고 의사소통도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었다"며 "다만 완치에 걸리는 기간은 개인차가 있으므로 최소한 일주일 정도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메르스 잠복기는 최소 2일, 최대 14일, 평균적으로는 5일입니다.

국내 환자만 보면 2015년 메르스가 유행했을 당시 평균 잠복기는 6.8일이었습니다.

A씨의 접촉자가 생긴 날은 지난 7일로, 12일부터 14일까지가 메르스 관리의 1차 관문이 될 전망입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소재가 파악되지 않는 외국인들이 메르스 관리의 '위험요소'로 남아 있습니다.

A씨와 같은 비행기를 타고 입국한 외국인 가운데 소재가 파악되지 않는 사람은 10명입니다.

보건당국은 A씨가 귀국한 직후 탑승한 택시에 대한 조사도 마쳤습니다.

A씨가 하차한 후 택시 기사가 밀접접촉자로 분류될 때까지 이 택시에는 24건의 이용 내역이 있었고, 이용객은 총 27명이었습니다.

이 중 26명은 일상접촉자로 관리되고 있으며, 1명은 해외 체류 중입니다.

이에 따라 밀접접촉자는 21명, 일상접촉자는 435명입니다.

현재 A씨와의 접촉자 중 보건당국의 조사를 거부하거나 격리에서 이탈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보건당국은 쿠웨이트 현지에도 역학조사관을 보내 현장 상황을 점검할 예정입니다.

세계보건기구, WHO 기준에 따르면 감염 환자가 '0명'이 된 뒤 메르스의 최장 잠복기의 2배인 약 28일이 지나야 감염 종료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