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가스 유출' 삼성, 119 아닌 '재난 예방과'에 뒤늦게 신고

<앵커>

그제(4일) 3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삼성전자 기흥사업장의 이산화탄소 유출 사고와 관련해서 삼성 측의 초기대응이 적절했는지 논란이 일고 있는데요. 당시 삼성이 119가 아닌 관할 소방서 재난예방과로 뒤늦게 신고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고 원인과 함께 규명돼야 할 내용입니다.

장민성 기자입니다.

<기자>

삼성전자는 이산화탄소 방출 신호가 감지되고 1분 뒤 자체 소방대가 출동했고, 10분 뒤 지하 1층에서 부상자들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현장에서 23분간 응급 처치를 한 뒤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했다고 했습니다. 출동에서 이송까지 33분이 걸린 셈입니다.

[서동면/삼성전자 전무 : 저희 자체 소방대에서 즉시 출동을 해서 거의 실시간으로 병원으로 이송을 했습니다.]

용인소방서에 처음 연락한 것도 사망자가 나온 뒤인 사고 발생 1시간 50분이 지나서였습니다.

중대 재난 상황에 대한 법규에 따라 적절히 취한 조치라고 삼성은 주장하지만, 화재나 구급 현장을 발견하면 지체 없이 소방 당국에 알리도록 한 소방기본법을 위반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신고도 119가 아닌 용인소방서 재난예방과에 전화했던 걸로 SBS 취재 결과 드러났습니다.

[용인소방서 직원 : 재난예방과의 업무가 화재 예방하는 부분이거든요. 화재 예방을 위한 예방 대책, 시설을 점검하는 부서… 말 그대로 예방 쪽 업무인데….]

[부상자 가족 : 만약에 119에 신고가 돼서 119에서 와서 대처가 됐다면 또 상황이 어떻게 바뀌지 않았겠느냐.]

사고 원인을 두고 소방설비의 기계적 결함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경찰은 정확한 사고 원인 조사를 위해 현장 감식을 벌일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