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폭염에 채솟값 한 달 새 30%↑…8월 소비자물가 1.4% 상승

폭염에 채솟값 한 달 새 30%↑…8월 소비자물가 1.4% 상승
소비자물가가 11개월 연속으로 1%대 상승률을 유지했습니다.

'역대급' 폭염 영향으로 채소류를 중심으로 한 농산물 가격이 급등했지만, 누진제 구간 조정으로 전기요금이 내린 여파입니다.

통계청의 8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4% 상승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작년 9월 2.1%에서 10월 1.8%로 낮아진 이후 11개월째 1%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상품은 1.3% 올라 전체 물가를 0.59%포인트 높였습니다.

특히 석유류는 1년 전보다 12.0% 뛰며 전체 물가를 0.52%포인트 끌어올렸습니다.

경유가 13.4%, 휘발유가 11.0% 올랐습니다.

폭염에 따라 농산물 가격도 1년 전보다 7.0% 올라 전체 물가를 0.33%포인트 올리는 효과를 냈습니다.

특히 쌀 33.4%, 고춧가루 44.2%, 수박 31.1%, 복숭아 29.0%, 무 24.4%, 시금치 22.0% 등으로 상승폭이 컸습니다.

전달과 비교하면 채소 가격은 무려 30.0%나 올랐습니다.

2016년 9월 33.2% 이후 최대 상승 폭입니다.

전달과 비교하면 시금치 128.0%, 배추 71.0%, 무 57.1%, 파 47.1%, 상추 40.5%, 양배추 85.5% 등으로 크게 올랐습니다.

전기·수도·가스는 1년 전보다 8.9% 내렸습니다.

7∼8월 누진제 구간 조정에 따른 한시적 효과로 전기료가 16.8% 하락한 영향입니다.

전기료는 전체 물가를 0.28%포인트 내리는 효과를 냈습니다.

이번엔 7월 전기요금 조정분이 반영된 것으로, 8월 조정 효과는 9월 소비자물가지수에 나타납니다.

서비스 물가는 1.4% 올라 전체 물가를 0.80%포인트 높였습니다.

특히 개인 서비스 요금은 2.4% 상승해 전체 물가를 0.77%포인트 올리는 효과를 냈습니다.

자주 사거나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해 체감 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1.3% 올랐습니다.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3.2% 뛰었습니다.

장기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0.9% 상승했습니다.

OECD 회원국과 물가상승률을 비교할 수 있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1.0% 올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